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181.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미계측 유역이 많아 유출현상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도시화로 인한 지형적 특성의 변화 또한 유출현상 분석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수공학 분야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셀 유출량(cell funoff)을 도입시켜 유출현상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천유역의 6개 수위관측지점의 자료를 적용하여 VMS를 통한
        182.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유역과 하천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논문은 실험선택법(choice experiment)을 적용하여 안양천의 속성별 가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가치를 적용하여 안양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대안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실험선택법은 여러 속성으로 구성된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으로 응답자의 선호체계에 명확하게 초점을 둔 지불의사 유도방법이다. 예비조사를 통해 안양천이 가진 속성을 홍수피해위험, 유지유량, 수질, 하천형태
        183.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건천화 방지를 위한 유역통합관리 절차를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적용한 결과이다. 특히 대상 유역에 대한 물순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자료 및 취득방법을 제시하였고, 중유역별 상태파악 및 대안 선택에 PSR 모형을 사용하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이 반영하였으며, 지수산정 방식은 다단계 다기준 의사결정알고리즘 중 하나인 복합계획법을 사용하는 등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에 대해 구체적인 건천화 방지 대안을 제시하였
        184.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를 Heathcote가 제안한 다음과 같은 7단계를 토대로 제시하였다. 단계별 절차는 (1) 유역의 물순환 관련 요소 파악, (2) 문제점 도출 및 우선순위의 결정, (3) 분명하고 구체적인 목표의 설정, (4) 모든 대안의 제시, (5) 가능한 대안의 선별, (6) 선별된 대안의 효과분석, (7) 최종대안의 수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 유역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185.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 this research of the analysis on the frequency flood discharges regarding basin property factors, a linear regression system was introduced, and as a result, the item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flood discharges from Nakdong river basin is the basin area, and the second highest is the average width of basin and the river lengt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looking at the multi correlation betwee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collected basin property factors using the data from the established river maintenance master plan of the one hundred twenty-five rivers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 result of analysis on multi- variate correlation between the flood discharges and the most basic data in determining the flood discharges as basin area, river length, basin slope, river slope, average width of basin, shape factor and probability precipitation showed more than 0.9 of correlation in terms of the multi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ore than 0.85 for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The model which induced a regression system through multi correlation analysis using basin property factors is concluded to be a good reference in estimating the design flood discharge of unmeasured basin.
        186.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2000년)의 토지이용 및 지하수 취수량(2000년)을 토대로 유황곡선을 도출하고 개발이전의 토지이용(1975년)과 지하수 취수가 전혀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유황곡선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과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한 것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황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전, 삼성, 삼막, 수암천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187.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frontier of Sustainable Basin Research Initiative, we commenced a scenario-driven planning and evaluation research project which is to identify the strategic policy scenarios. As a part of the project,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the ecological impacts of land cover changes using landscape indices at the whole basin level. We analyze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ea including forest, agricultural land, water area, barren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ure-friendly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ize and diversity of natural area have been reduced, while patch number and isolation have been increased in proportion to urbanization in 1974, 1995 and four future scenarios in the Ara River Basin. Also, we estimated that the natural area could be conserved to some degree in the SD or DE scenarios with a concept of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and lifestyle. Various strategic environment policies may be evaluated and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method, that is, scenario approach and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suggested in this study.
        188.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CCCma CGCM2 기후모형을 이용하여 SRES A2, B2 시나리오 모의를 통한 기후변화가 2050년, 2100년 소양강댐유역의 수문환경에 미치는 변화양상을 SLURP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문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모형의 입력자료는 NDVI의 경우,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개년에 걸친 월별 NDVI를 사용하여 기온-NVDI와의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A2, B2 각 시나리오별 NDVI 값을 추정하였으며 대
        189.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opographical parametersestimate and calculated travel time, storage coefficient and lag time by watershed dividing 11, 8, 6 and 2. The results showed the more divide watershed, the more increase peak discharges. The results showed that Kraven-Clark-Kraven case is good simulated by compared observed data with calculated data. The sub-basin number are adequate 6~11 for wichun and travel times compare observed data with calculated data at the younggok, to take about 18~20hr by simulated results but observed data shorter 8~10hr. From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it could be make narrow parameter estimate for observed hydrograph simulation, if more observed velocity and hydrograph. Also, as results of this study that is help to estimate parameters (arrival time, storage coefficient and lag time for Clark model.
        19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ter pollution degree in the Mid-Nakdong River watershed regarding to landcover types using GIS method. As a result of landcover classification, rate of urban appeared highly on Daegu Metropolitan city. Also, rate of agriculture showed highly in the riparian zones of the Nakdong and Guemho River and rate of forest appeared highly in the borders of the study area. To identify the groups of watershed with similar landcover patterns using the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fifty sub-watersheds were grouped in three clusters, "Urban watershed", "Agriculture watershed", "Forest watershed". The proportion of urban area in each clust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pollution degree. Otherwise,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in the Agriculture watershed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pollution degre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environmental capacity of water quality considering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ecosystem and expand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s to small stream.
        191.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통합관리의 이론을 적용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Heathcote (1998)가 제안한 다음과 같은 7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별 절차는 (1) 대상유역에 대한 정보수집, (2) 문제점 도출 및 우선 순위의 결정, (3) 분명하고 구체적인 목표의 설정, (4) 모든 대안의 제시, (5) 가능한 대안의 선별, (6) 선별된 대안의 효과분석, (7) 최종대안의 수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는 단계의 과정에 해당된다. 1단
        192.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수문학적 구성요소인 한계유출량을 Manning의 제방월류 유량, 지형기후 학적 순간판위도 기법을 활용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산정하였다. 한강유역의 3" DEM자료를 이용하여 미세소유 역 구분(), 하도 및 하도경사를 GIS로부터 추출함으로써 한계유출량 산정을 위한 유역 매개변수를 구축하였다. 또한 유역 및 하도간의 지역적 회귀분석을 위해 실측 소하천 하도단면자료를 수집하여 통계학적으로 최적의 회귀식을 추정하고, 이
        193.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쌍천 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융설 효과를 확인하였고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지하댐 운영을 위해 개발된 Groundwater dam Operation Index(GOI)는 이동평균값을 사용하여 상용 로그값을 취한 것으로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시 지하댐 운영지표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역별, 자료별로 이동평균기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이동평
        19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according to rainfall in Dalseo and Daemyung watershed. Land-uses of the Dalseo and Daemyung watershed were surveyed to urban 72.1% and mountainous 6.7%, and urban 49.3% and mountainous 20.5%, respectively. Mean runoff coefficients in each area were estimated to Dalseo watershed 0.49 and Daemyung watershed 0.1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nfall and peak-flow correlation coefficients(r) were determined to Dalseo watershed 0.9060 and Daemyung watershed 0.562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dry period and first flow runoff correlation coefficients(r) were determined to Dalseo watershed 0.7217 and Daemyung watershed 0.246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nfall and watershed loading, exponent values of SS in Dalseo and Daemyung watershed were estimated to 0.54 and 0.496, respectively.
        19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per management of small rural watershed is important since it does affect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larger scale watershed. Therefore, effective small watershed management guideline including participatory program of local people is required to achieve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Feasibility of water quality goal, short and long-term watershed management plan and funding sources were investigated by field monitoring of Hampyungchun watershed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rural stream, and literature review. The relevant parties and their roles fer watershed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suggested. A hybrid model, that is mixture of government driven model and NGO model, is recommended for watershed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is study.
        196.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and discharge load amount according to the land utilization in Yeinam river basin. The land utilization of target basin was divided into paddy field, dry field, forest, residential area and composition area. The study on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by rainfall-runoff process showed that COD, SS and T-P had the first-flushing effect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in early-stage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but the T-P revealed similar runoff characteristics. Event Mean Concentration(EMC) of BOD and COD according to the land utilization revealed the range of 3.11~15.50mg/L and 3.37~33.42mg/L,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MC corresponding to BOD and COD was detected in the paddy field. The EMC of SS showed 1.7~305.02mg/L and it's highest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dry field. The EMC of T-N and T-P represen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paddy field and dry field with range of 0.91~8.76mg/L and 0.02~0.44mg/L.
        197.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유역의 유출분석을 위하여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모형들로는 ILLVDAS, SWMM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대부분의 도시하천의 경우 합류식의 배수계통을 가지고 있어, 홍수시에 하수관거용량을 초과하는 우수량은 하천을 통해 배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수계통을 갖는 하천에 대하여 대상유역의 배수관망 자료 부족과 Modeling의 어려움으로 인해 도시유출모형이 아닌 HEC-HMS 모형과 같은 유역추적법을 통해 유출분석이 이루어지고
        198.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계천 유역(유로연장: 13.75 km, 유역면적: )의 물순환 해석에 물리적 개념의 공간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WEP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 적용 결과, 청계천 유역은 전형적인 도시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강우시의 지표면 유출량이 크고, 강우의 유출에 대한 반응이 빠르며, 증발산의 경우는 산림지역보다 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관측값과 비교한 결과 청계천의 하천 유출을 모의하기에 적절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청계천 유역 자
        199.
        200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매개변수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리학적 모형으로 강우-유출 모형을 구성하였다.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 지형도나 유역 특성 자료로부터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지표류는 운동파 방법을 하도추적은 Dynamic Wave 추적기법을 적용하여 대표적인 자연하천 유역인 소양강 유역과 위천 유역에 대해서 적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모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HEC-1 모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비교한 결과 HEC-1
        200.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경년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천형태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천주위의 토지이용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안천 유역의 지방 1, 2급 하천에 해당하는 1966년, 1981년, 2000년 항공사진에 내, 외부표정을 실시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또한 1914 - 1915년 지형도를 이용하여 1966년, 1981년, 2000년의 하천과 비교하였다. 이 영상을 이용하여 경년 하천형태와 하천부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