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24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ice straw management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soil fertility as well as reducing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in paddy fiel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moderately well draining alluvial paddy soil to investigate the decomposition pattern of rice straw. The mesh bags containing the rice straw harvested in the previous year were placed at soil surface and buried into around 10cm depth and recovered periodically for determining the straw decomposition. Po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tes of N released from 15 N-labeled rice straw under different levels of N fertilizer application. The overall decomposition patterns of rice straw were similar for the two incorporation depths in transplanted paddy field. The straw incorporated at transplanting date showed weight loss of about 50%, 70% and 90% after 2 months, 5 months, and 2 years,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s of straw cell wall components showed somewhat different pattern. The decompositions of cellulose and silica were similar to that of dry weight while the decomposition of lignin was slower than that of cellulose and silica. N was released from rice straw 42% and 65 % of the initial N after one month and after five months, respectively. P release was faster than N release. Recoveries of rice straw-15 N by rice plants were 10.2, 13.4 and 14.9% in 0, 120 and 240 mg N pot-1 , respectively. Soil recoveries of rice straw 15 N were 17.3, 20.6 and 18.9% in 0, 120 and 240mg N pot-1 , respectively.
        242.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갯벌내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환경특성이 다른 세지점의 갯벌을 대상으로 분해능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갯벌의 입도조성은 육상기원 퇴적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갯벌이 하제갯벌보다 전체적으로 입도조성이 작았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은 초기에는 아주 느리게 일어났으며, 유기물 분해율은 동진강 하구갯벌에서 87.63%, 만경강 하구갯벌에서 86.36%, 하제갯벌에서 85.88%로 나타났고, 시험수 자체의 유기물 분해율은 27.5∼30%로 나타났다. 유기물 분해속도(K')는 동진강 갯벌이 1.364day-1, 만경강갯벌이1.080day-1, 하제갯벌이 0.735day-1로 나타나, 축산폐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진강 하구 갯벌에서 높은 유기물 분해속도상수를 나타냈다. 해수중에서의 유기물 분해량을 뺀 순수한 갯벌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량은 동진강 하구갯벌이 0.4㎎/g/day, 만경강 하구갯벌이 0.36㎎/g/day 및 하제갯벌이 0.36㎎/g/day로써 평균 0.37㎎/g/day이었다. 단위면적당 유기물 분해량을 계산하기 위해 1ha당 표층 0.1㎝ 에서만 미생물이 작용하고, 갯벌의 비중을 2.5g/㎤으로 가정하여 1ha당 유기물 제거능력을 산출한 결과 9.25㎏/ha로 추정되었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속도는 유기물 함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IL, CODsed, TC와 높은 양의 상관성(R2=0.97∼1.00)을 보였고, 물리적인 특성인 입도와는 입도조성이 작을수록 분해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