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5

        241.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안 준설퇴석물을 열처리, 생물침출공정을 이용한 중금속처리, 중화처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전처리한 재료를 이용하여 연안해수에 함유된 질산염의 흡착특성에 대한 실험실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처리된 퇴적물의 흡착평형시간은 생물침출-열처리 퇴적물이 17분으로 가장 빨랐으며 생물침출-중화-열처리 퇴적물과 생물침출퇴적물이 각각 25분. 27분으로 황토와 열처리 황토에서의 3,3분, 32분 보다 빠르게 흡착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험된 재료들에 대한 흡착공정은 Freundlich 등온흡착식으로 해석할 수 있었으며, 전처리한 퇴적물의 흡착속도가 황토에 비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질산염의 흡착량은 퇴적물과 열처리 퇴적물에서 각각 2.l2, 2.19 mg NO3-N/g 으로 가장 많았으며 열처리 등으로 전처리된 퇴적물은 연안해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흡착재로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42.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만 및 저수지에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및 제거는 극도로 큰 에너지를 동반한 기계적인 배출방법으로 단지 가능할 수 있다. 소위 분사방법은 높은 전단력에도 불구하고 점착성 퇴적물을 움직이게 하는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목적댐, 항만 그리고 호수 등에서 퇴적된 점착성 미립자들을 저감시키기 위해 기포 투입으로 침전된 미립자()의 부유현상을 실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을 통해 중요한 매개변수는 투입된 기포의 양과 침전된 퇴
        243.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모형과 셀의 유입, 유출 및 저류량에 대한 질량보존의 법칙을 이용하여 토사의 이송 및 퇴적분포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a) 토사침식 예측 (b) 흐름방향 및 유출량 산정 그리고 (c) 토사에 대한 질량보존의 법칙에 따른 셀별 토사이동량 산정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토양침식은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활용하였으며 분포형 모형에서의 경사장(L) 산정은 일방향(SF)과 다방향 흐름 알고리즘(MF)을 사용하였다. 경사(S) 산
        244.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세하게 부유된 입자(alumina(AlO), quartz(SiO))의 침전 농도를 물리-화학적(초기농도, pH, NaCl)인 영향을 고려하면서 연구하였다. 침강실험은 입자사이의 끌어당기는 힘 때문에 Flocculation(플록 형성)이 일으키는 초기농도와 NaCl의 증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더욱이 미립자(alumina(AlO))의 농도-시간 곡선에 pH의 영향이 매우 큼을 보였다. 또한 정지수면 조건하에서 미립자의 침전 거동예측을 위한 수치 모델
        245.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우에 기인한 연안역의 토사 및 영양염류 유출에 관한 현지관측과 대안[오끼나와 이시가키섬]이며, 이론 통한 유출지형분석 강우강도·조석과의 영향, 유출입자의 특성(탁도, 입도, 영양염류) 등을 확인하였다. 연안부의 토사 유출과 영양 염류의 농도는 강우강도와 조수간만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지역적 차이를 보였으며, 하천유역 주변 토지 이용형태와 주변 식생의 분포비율에 따라 변화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4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장에서 교란하지 않고 채취한 유사 시료의 침식률을 측정한 결과를 직접 활용하여 침식률을 계산하는 2차원 유사이동 수치모형을 수립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국 팍스강에서 홍수시 유사 수송과정을 모의하였다. 큰 전단응력 하에서도 침식률 측정이 가능한 Sedflume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의 침식률이 깊이별, 전단응력 별로 측정되었다. 수치모형은 침식률 측정자료를 모형에서 직접 사용하며, 부유사와 소류사 이동을 모두 고려한다. 개발된 모형은
        247.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entrations of PCBs in the sediment of the Kumho River was determined. Samples were collected at 23 locations along the river. Total PCB levels ranged from 2.7 to 87.6 ng/g dry weight. The site near the Keomdan factory district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s. The levels of PCB congener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otal organic carbons in the sediment. The major fractions of PCBs were congeners containing 4, 5, or 6 chlorine atoms per biphenyl molecule.
        24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pollution of nonylphenol (NP) in surfac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and Yeosu sound. NP was suspected chemicals as endocrine disruption. Gwangyang bay is located on the mid south coast of Korea. It is a semi-closed bay which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POSCO (Pohang Steel Company) and Gwangyang container harbor are there. The surface sediments were collected at 15 stations with gravity corer at October, 1999, February, May and August, 2000. Also, the stream and intertidal sediment were collected at 5 sites at August, 2000. Concentrations of NP in surface sediments were in the range of 6.89 to 202.70 ng/g dry wt.. Seasonal range (mean value) of NP is 13.98 to 30.48 (23.46) ng/g dry wt. at October, 10.35 to 54.91 (28.10) ng/g dry wt. at February, 29.05 to 202.70 (82.32) ng/g dry wt. at May and 6.98 to 83.40 (25.37) ng/g dry wt. at August. NP was seasonally fluctuated, and the highest mean value and range was detected at May, 2000. NP was highly distributed in the inner part of Gwangyang bay than Yeosu sound. Concentrations of NP in stream and intertidal sedim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downstream near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and Yondung stream. It suggests that the source of NP is industrial wastewater and municipal sewage.
        249.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최근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지금까지 개발된 저류시설을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자원관리와 그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경북지방의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저류용량과 퇴사량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업용 저수지의 준설을 통하여 10% 이상에 이르는 저류용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GIS와 각종 토사발생량 예측기법을 활
        250.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하상변동 및 유사입자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를 동시에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사행수로의 하상변동은 만곡부의 외측에서는 하상이 세굴되고 훨씬 더 거친 입경의 재료로 구성되며, 만곡부의 내측에서는 하상이 상승하고, 세립토로 구성되었다. 또한 사행하천에서 흐름의 방향에 대한 입자분포 과정은 상류의 변곡점에서 시작하여, 하류 변곡점에서 마치게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천의 경계가 불규칙하고 복잡한 하천에서는 혼합사호 형성된
        251.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iverbed variation due to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located on the estuary of the main stream of Taehwa river using 1-D finite difference model, HEC-6 model,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estimating sediment transport rate, amount of scour or deposition, and accumulated amount of deposit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removal with various flow rates in the channel. Ackers-White transport function produced the greatest sediment transport rate while Meyer-Peter showed the smallest sediment transport rate at the most down stream area of the watershed through the sediment transport rate analyses for various flow rat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Toffaleti's and Colby transport function were closest to the average valu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results of the sediment transport functions showed up to 8~9 times. Duboy’s transport function produced the greatest riverbed variation while Toffaleti’s showed the smallest variation through the riverbed variation analys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Yang’s was closest to the average valu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results of the riverbed variation analyses ranged from 1.4 times to 11 times. It is thought that a sediment transport function must be selected very carefully with respect to the criteria of sediment yield estimation becaus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ediment transport rate and riverbed variation according to flow ra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ediment transport functions, and the differences of sediment transport rate and riverbed varia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sediment transport functions decreased as the flow rate increased.
        252.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호우시에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저수지내 부유사 농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저수지의 정량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탐진댐에 적용되었으며 강우유출관계는 Huff의 강우분포와 Clark의 유역추적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수지 추적은 Puls방법을 이용하였다. 토사유출량의 산정은 범양토양손실공식을 분포형 개념을 이용 단일호우에 대해 적용하여, 적정 빈도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지내
        253.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Landsat-5 TM 위성영상과 NGIS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기본도와 USLE 주제도를 구축하고,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아산만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였다. 유사운송비와 포착률을 이용하여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농업기반공사의 배수갑문 관리자료와 환경부의 담수호 부유물 측정자료로부터 구한 실측 유사량과 비교하였다. USLE와 유사운송비, 포착률을
        254.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 EPA의 BASINS (Better Assessment Science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에 통합되어 있는 HSPF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와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Polecat Creek 유역의 유출과 유사량을 모의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하여 1996년 9월부터 2000년 6월까지의
        255.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report the distributions of Sb and As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Yellow Sea and the coastal areas of Korea. The mean concentrations of Sb and As range from 0.68 ppm to 1.01 ppm and from 7.4 ppm to 15.8 ppm, respectively, and show relatively the high concentrations at the coast of Weolseong in the East Sea for Sb and at the coast of Gadeok Island in the South Sea for As. This may be due to the anthropogenic input of these elements via river and atmosphere from industry complex and agriculture regions around the study area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clay to silt proportion, the correlation between silt plus clay contents and Sb, As in the coastal surface sediment of Korea is not shown, the concentrations of Sb and As vary widely for the sample in which the silt plus clay contents are the sam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b and As in surface sediment of the Yellow Sea and the coastal areas of Korea are mainly controlled by the anthropogenic inputs and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Sb concentrations are lower than those of the lowest effect level which is the standard of judgment for contamination, while the As concentra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lowest effect level. This implies that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Yellow Sea and the coastal areas of Korea are considerably contaminated for As.
        256.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질의 부유 현상이 일련의 쇄파라고 하는 파동 현상에 어떠한 형태로 연동하는가를 면밀히 조사하기 위하여 현지해안의 쇄파대내에 주 관측지점을 설치하고 부유사 농도와 유속, 수위변동 등의 관련 파랑 제원을 계측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위변동, 유속변동치의 부유사 농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상관이 탁월한 주기대에 대한 ensemble 평균 분석으로 유속 및 수위변동의 위상에 따른 부유사 농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명백히 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부유사의 농도 변동은 유속 및 수위변동의 에너지가 가장 큰 장주기 성분(100s)에 있어서 보다 오히려, 관측지점이 절(node)이 되는 1차mode의 장주기중복파(60s) 및 배(anti-node)가 되는 2차 mode의 중복파(30s)의 주기성분에서 상관이 높았으며, 2)또한, 1차 mode의 장주기중복파의 유속 성분이 해안으로 향하여 가속하는 위상 즉, 수면 경사가 상대적으로 해안선측보다 외해측이 높은 위상에서 부유사 농도가 가장 높아짐을 명백히 하였다.
        25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최초로 31PNMR 및 XRD를 이용하여 월성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해저 저질토에 대하여 퇴적물의 광물학적인 성분 분석 및 인의 존재형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약 30 cm의 코아에 대한 연구결과, 광물종은 심도별로 변화가 없었으며 주 구성광물은 석영, 알바이트, 미사장석, 방해석과일라이트, 스멕타이트, 녹니석, 그리고 카올리나이트 등이 동정되었다. 31 P NMR 결과는 다른 외국의 해양 퇴적물에서 보고된 것과 같은 다양한 종의 인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단지 주로 orthophosphate-monoester와 함께 orthophosphate-diester로 판단되는 인이 아주 미량으로 같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광물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심도별 인의 종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지역의 인은 주로 해양 생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의 존재형태는 본 지역의 시료들이 산화환경에 있었음을 지시하며 XRD의 실험결과와 더불어 유추할 수 있듯이 본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퇴적환경과 산화환경이 계속되어 왔거나, 아니면 다양한 환경에 있던 것들이 후의 외부적 교란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어 표면의 산화환경에 계속적인 노출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259.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est management starts from forest road facility, which is designated as generation source of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during initial stag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 of suspended sediment generated in forest road surface on the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with respect to marsh area of forest.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outflow of suspended sediment was understood, and it was judged that generation of suspended sediment due to establishment of forest road is diluted by mountain stream this charged from drainage area so as to have small effect on muddy water in total mountain stream.
        260.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gnificant fraction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released from sediment are utilized by primary production in the shallow water of coast and lak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echanism of nutrients release from sediment and to introduce the methods of the measurement of nutrient released from sediment. One approach is to calculate nutrients released from sediment by a concentration gradient between sediment pore waters and overlying water based on the Fick's law. The other approaches of measurement are the undisturbed sediment core experiments and measurement of nutrient released from sediment by the in situ chamber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