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 자수정을 열처리 하면 황수정으로 변색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잠비아산 천연 자수정 시료를 350~380℃에서 1시간 열처리한 결과 총 8개의 시료 중 5개의 시료가 황수정으로 변화하였고 3개는 백수정으로 변화하였다. 이들의 발색의 차이는 열처리 전 본래의 자수정이 가지고 있던 색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 같다. 열처리 전 황색을 함유한 자수정은 열처리 후에 황수정으로 변하였고, 황색을 함유하지 않은 자수정은 백수정으로 변하였다. 색상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적외선 분광분석에서 3,400 cm-1의 피크의 세기와, 5,200~5,400 cm-1의 영역에서 피크의 존재 유무에 차이점을 나타냈으며, WD-XRF에서 미량원소인 Cr의 양에 차이가 나타났다. 열처리 전과 후의 FT-IR 스펙트라의 동일한 결과는 열처리가 주 구성성분이나 결정구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2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색 효과를 보이는 6종의 보석들을 대상으로 UV-Vis 분광분석과 Photoluminescence에 의한 발광 및 형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514 nm Ar이온 source로 PL을 측정한 결과 발광 피크의 모양이 다르게 나타났고 같은 천연과 합성 보석에서는 동일한 피크가 나타났다. 이들 발광 및 형광 특성은 보석들의 결정 구조와 관련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325 nm He-Cd source에 의한 형광 조사에서는 합성 알렉산드라이트와 합성 칼라체인지 사파이어 그리고 천연 알렉산드라이트에서 강한 형광이 나타났고 이를 PL 피크로 확인하였다.
        23.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dampening papers (Dampened paper, Newspaper, Korean paper, Flower sheet), silica gel (30g, 60g) and temperature (20℃, 25℃) on color changes of Erythronium japonicum. In the treatment of 20℃, color changes were low in treatments with silica gel rather than in a treatment of dampening papers. In particular, newspaper and Korean paper showed much less changes in colors by the combination treatments with 30g of silica gel. Likewise, in the treatment of 25℃, color changes were low in combination treatments with silica gel rather than in a alone treatment of dampening papers.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with 30g of silica gel, low color changes were shown in the divisions of newspaper and Korean paper, while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with 60g of silica gel, low color changes were shown in the those of Korean paper and dampened paper.
        24.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칡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색상 개선, 항산화성 및 항균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칡 추출물은 methanol 과 acetone으로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 그리고 30 kGy로 조사하였다. 칡 추출물은 감마선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명도(Hunter color L-value)가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값) 와 황색도(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칡 추출물의 항산화력(TBARS)은 acetone 추출물보다 methano
        25.
        2002.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drying agents and ethyl alcohol treatment on the flower color of Gentiana uchiyamai. The flower color was not much changed in flower sheet,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only. The color was least changed in Korean and China hwasunjis,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and silica gel treatment. The color was less changed in flower sheets, window papers, and China hwasunjis, and was most changed in newspapers,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and Na2SO4 treatment. The color was least changed in China hwasunjis, and most changed in dampened papers, in the case of absorbtion papers and CaO treatment. The color tended to change far from the original one, as treatment time got longer, in the case of 0.01M and 0.lM of tartaric acid. The longer the treatment time and the bigger the concentration of ethyl alcohol, the bigger flower color.
        26.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늘퓨레를 제조하였을 때 원료로 사용된 마늘의 저장온도와 퓨레의 pH 및 온도가 변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마늘퓨레의 변색은 저온저장했던 마늘로 퓨레제조시 심하게 나타났으며 pH 4.0, 2와 조건에서 청변이 가장 심하였다. 변색의 양상은 녹변, 청변, 그리고 갈변의 세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며 산화적 갈변을 제외한 녹변과 청변은 변색정도의 차이일 뿐 같은 기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변색색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