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2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ertilized eggs of E. septemfasciatus are spherical and transparent with buoyancy at 790 to 890 μm (average 821.8±2.0 μm) in diameter with 170 to 230 μm oil globules (average 192.9±0.93 μm). Hatching began approximately 46 and 35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22.0℃ and 25.0℃ water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length of newly hatched larvae was 1.75±0.03 mm. Most of the yolk and oil globules were absorbed within 3 to 4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reached 2.48 to 2.72 mm in total length, and their mouths and anuses opened at 3 to 4 days after hatching. In this time, the mouth diameters of the larvae were 0.209 to 0.238 mm. The larvae reached 3.24 to 4.15 mm in total length at 11 to 17 days after hatching, and began to metamorphose at the time the second dorsal and pelvic spines appeared and elongated. The abdominal cavity was densely lined with melanophores. The larvae reached 5.12 mm in total length at 24 days after hatching.
        2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2003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율어리 소재의 보성강 중류에서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된 모래무지 어미들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사육하면서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모래무지의 수정란은 구형의 침성부착란으로 난경은 1.98±0.19 ㎜(n=50)였고, 반투명하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정 후 164시간부터였고, 이 때 근절수가 31~32개였으며, 배체의 움직임이 활발하였으며, 머리부터 난막을 뚫고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4.61±0.83 ㎜(n=10)로 난황은 아직 흡수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등쪽과 배쪽, 꼬리쪽에 별모양과 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산재하였으며, 눈에는 색소포가 진하게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42일째는 전장 16.22±0.65 ㎜(n=10)로 흑색소포가 두부와 등쪽과 체측면에 따라 짙게 산재하였고, 주둥이 양쪽에 수염이 나타났으며,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완전히 닮아 있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