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196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열병균의 분생포자를 다량으로 형성하는 배지를 찾고자 여러 가지 영양분을 차진 한천 및 액체배지에 대하여 분생포자형성도를 시험하였다. 여러 가지 공시 배지 중에서 V-8배양액과 토마토 즙한천배지 상에서 가장 많은 분생포자가 형성되었고, 볏짚배지 상에서 가장 적은 수의 분생포자카 형성되였다. 이와 같이 V-8즙배양액화 토마토한천배지는 도열병균 분생포자형성도에 있어서 과거 연구자들이 최적이라고 보고한 쌀겨한천배지와 효모전분한천배지를 훨씬 능가하였다.
        3,000원
        22.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ice water weevil (RWW), Lissorhoptrus oryzophilus are major pests of aquatic rice plant in Korea as well as throughout the country. Larvae of RWW sucking the nourishment on roots, causes a stunted root system and reduces grain yields. To prevent these damages, we constructed various plant expression vectors, which were harbored by insecticidal genes, cryBP1 and cryIIIa, and fused with the actin promoter and/or the modified RCg2 root-preferential promoters for expressing the insect-toxic genes in leaves and roots. A cryBP1 was cloned from Bacillus popilliae, producing crystal toxin against Japanese beetle, and CryIIIa was modified from the δ-endotoxin gene of Bacillus thuringiensis ssp. tenebrionis, encoding the coleoptera-specific toxin. The vectors containing the insecticidal genes were transferred into Oryza sativa japonica cultivar, Nakdong, by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method. Several independent transgenic lines were selected by Southern blotting and Western blotting, confirming that cryBP1 and cryIIIa genes were stably integrated into the plant genomes and were expressed in transgenic plants. Upon insect bioassay using RWW, the mortality of insect larvae on cryBP1 and cryIIIa transgenic rice lines recorded up to 41% and 3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ansgenic lines can be used to develop Coleoptera-resistant cultivars and could be valuable for later application in crop breeding for insect resistance.
        23.
        199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물바구미 피해정도에 따른 벼 생육 및 미질 변화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물바구미 피해정도에 따라서 보면 피해정도가 심할수록 경수는 적고, 초장은 짧았으며 최고분벽기도 지연되었다. 2. 벼물바구미 피해에 의하여 출수기는 1-2일 정도 지연되었고, 간장도 짧아졌으며, 수수도 감소하였고, 등숙율은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3. 벼물바구미 피해에 의하여 수량은 4-22%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1모작보다 2모작에서 심하였다. 4. 벼물바구미 피해에 의한 미질 변화는 불완전미가 증가하였고, 특히 청미가 증가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