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약탕제 찌꺼기를 친환경 퇴비자원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퇴비(MHWC; medicinal herb waste compost)와 계분퇴비(PMC; poultry manure compost) 및 이들을 혼합한 퇴비(MHWC+PMC, 1:1)를 식재 2년생 복분자 포장에 무처리(UC; untreated control, 0), 20, 40 Mg/ha로 각각 처리하였다. 밭 토양의 화학성과 수확한 복분자 과실의 수량 및 당도변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 pH는 UC보다 모두 증가하여 유의적인 pH 변화 조절기능이 인정되었다. EC는 MHWC 처리구가 UC보다 0.56-0.46 배 감소를 보였으며, PMC 처리구와 차이가 있었다. 유기물 함량과 질소함량은 퇴비 종류와 무관하게 증가하였고, 가장 증가된 퇴비는 MHWC이었다. 유효인산함량은 퇴비 종류 및 처리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각 퇴비를 처리한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낮았다. MHWC 처리구의 수량과 당도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MHWC 처리는 복분자 경작지의 토양환경개선과 더불어 복분자 과실의 수량 및 당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퇴비자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2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abilization/solidification (S/S) process for lead (Pb) contaminated soils was evaluated using waste cow bone containing apatite like compounds. Soil samples obtained form firing range were treated with waste cow bone. The effectiveness of stabiliza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Leaching Test (KSLT) and soil pH. The leached concentration reduced with increased in dose of waste cow bone. Overall, the KSLT results showed that Pb concentration in soil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mount of waste cow bone. When soil amended with 20 % of waste cow bone, less than 0.1 mg/kg was leached, and soil pH was increased from 6.5 to 8.4. Same results were obtained when finer waste cow bone was applied. The reachable concentration of Pb in soil showed in inversely proportional to solid/liquid ratio. Aging periods indicate improving mix design was applied. Relatively high lead concentrations was observed at the first 1 days, however leaching profile are reduced significantly over time for all mix design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