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servation works trend since 1900. Objects for study are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in Buddhism, in wooden architecture. And researched about the factor of conservation works, roof and tile, painting and dissolution conservation works cycle by dissolution, timber change ratio. The factor of conservation works is the most, roof and tile. Conservation works cycle by dissolution is 12.8 years. Painting cycle is 16.3 years. There are two concepts of conservation works, that is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There are many restoration before 1960's. To 1960's the preservation to be many to 1970's many Restoration. And since the end of 1970's is Preservation. These reasons are conservation works history of object, the rule for Heritage protection, people on works, and study of architecture. history.
        5,200원
        2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is physical and chemical work. Synthetic resins are using for consolidation and restoration of decayed members. Since 1978, synthetic resin became useful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The first object was Chimgyeru of Songgwang-temple in Suncheon city. In the 1980s, have begun the care of materials for conservation on the architectural heritage, it was influenced according to authenticity of UNESCO Venice charter's principle, in 1964. In Kore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that is sing many kinds of epoxies. Among the specific types of epoxies are araldite XN1023, SV427, etc. The use of synthetic resin have merits and demerits in the restoration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e merit is that it is more smaller change with new members during preservation work. But the demerit is an irreversibility of the epoxy resin. In 1999, 'ICOMOS International Wood Committee' recommend contemporary materials and techniques, should be chosen and used with the greatest caution. And preservation work should reversible, as possible as technically. Therefore, should be data continous for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Because data is very important work about 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And should be try to think about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instead of synthetic resin, in the long view.
        5,500원
        23.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문화재인 경복궁이 이상기후에 의한 홍수위험이 존재하여 홍수재해위험도 평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 도시유출모형, 홍수침수모형 등으로 구성된 위험도 평가모형에 적용, 대상지역의 홍수재해위험도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또한 유역내의 과거재해이력을 통해 침수시 강우사상과 침수지역을 확인하여 강우사상을 모델링의 강우시나리오로 사용토록 하였다. 경복궁 외부배수로 도시유출모형 결과, 서울시 하수도기본계획의 설계기준인 30년 빈도에서 Ⅱ-H2 강우시나리오의 경우 KB1-5~6, KB1-12~15, KB2-1~2지점에서 침수가 발생하였다. KB1-5~6지점은 우수배제관거의 제원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관거지체 및 통수능 부족으로 월류가 발생하였으며, KB1-12~15, KB2-1~2 지점은 경복궁유역과 경복궁 오른쪽 외부유역이 합류되면서 관로의 용량 부족에 의한 월류로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이 우수들이 흘러 광화문의 침수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경복궁 주변 배수로에 대한 관로의 성능개선을 위한 하수도 정비사업을 실시 및 별도의 배수관로를 설치하여 침수를 방지하여야 한다. 과거 재해사례를 통한 시대별, 문화재별, 재해유형에 따라 GIS맵에서 확인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하였던 문화재 및 주변지역을 파악하고 피해액, 피해빈도와 재해상황, 당시의 사진 등을 통해 문화재별 재해에 적합한 대비 및 대응관리를 할 수 있다. 특히 기상이변과 기후변화 등 재난정보 연계를 통해 각종 위험요소를 확인,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사전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건축문화재를 보호하는 등 홍수로부터의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 재해발생시 신속한 조치와 긴급정보 공유를 위한 시설별 위험요소별 비상절차에 따라 대응하는 비상계획을 수립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사전예측을 통해서 신속한 응급조치와 복구지원을 위한 상세계획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