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4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lack seed coat soybean variety, Geumjeongkong 4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2001. Geumjeongkong 4 was selected from a cross Paldalkong/YCS87-3//YCS87-3.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
        4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남해안 부근의 섬에서 재배되고 있는 재래종 검정콩 유전자원 45품종(135점)의 조단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70-44.20%(평균 40.75%),지방산 조성 변이는 palmitic acid에서 9.00-14.40%(평균 11.41%) stearic acid에서 2.90-5.00%(평균 3.93%), oleic acid에서 22.25-26.50%(평균 22.75%), linoleic acid에서 50.30-57.20% (평균 53.55%), linolenic acid에서 6.70-11.20%(평균 8.35%)의 변이를 보였다. 지방산에 대한 유전력은 oleic acid에서는 높았으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에서는 낮았으며 palmitic acid, linoleic acid는 조단백의 유전력과 같은 경향으로 중정도 이었다. 형질상호간의 상관 계수에서 조단백은 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lin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 차로 부의 상관을 보였고 기타의 지방산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4.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lack soybean cultivar with green cotyledon for cooking with rice, Heugcheongkong was developed at the Kangwon Province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in 1999. Heugcheongkong was selected from Yeongwol local cultivars. To breed high-qualit
        46.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도의 다양화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검정콩의 우량 품종육성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활용코자 수집 선발한 재래검정콩 28계통의 종실크기에 따른 형태, 수분흡수성 및 알칼리 붕괴도의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크기별 수분흡수는 5, 20℃ 의 낮은 온도에서는 소립종에서 낮았고 40, 60℃ 의 높은 온도에서는 소립, 중립, 대립종간 차이가 없었다. 2. 검정콩의 수분흡수는 종실 크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침지온도 20℃ 이하에서는 10시간 이후에, 40℃ 에서는 10시간, 60℃ 에서는 4시간 정도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3. 100립중은 종실의 길이, 폭, 두께와는 각각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종실폭과 상관이 가장 높았다. 4. 알칼리 붕괴도는 입중이 무거울수록 높았으며, 100립중, 종실길이, 종실폭, 종실두께, 종실배꼽 길이와는 각각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5. 알칼리 붕괴도는 녹색 자염계통이 황색 자엽계통보다 높았다.
        47.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질의 밥밑콩 품종 육성 및 유전자원으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전국에서 수집한 검정콩 965계통을 대상으로 종실의 외형적 특성과 그 분포를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검정콩 계통의 100립중 전국평균은 28.1g이었으며 도별 변이를 보면 경기도와 경북 수집 계통이 무거웠으며 전북, 전남지역이 가볍게 나타났다. 2. 성숙군별 100립중의 차이는 중, 만숙군에서는 성숙군이 늦을수록 100립중이 무거웠다. 3. 수집검정콩 종실의 입형은 대체로 타원형이었으며 길이:폭:두께 비율의 평균은 1:0.77:0.77이었다. 4. 수집검정콩의 자엽색 분포에서는 72%가 황색자엽이었으며 27%가 녹색자엽이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