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41.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 하여 2008년 4월부터 12월까지와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수 행되었다. 14개 시·군지역의 주민 12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 사야장 1,200매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77과 153속 154종 2아종 14변종 2품종으로 총 172분류군이 확인되었 고, 지역별로는 순천시가 82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구례군이 67분류군, 함평군 65분류군, 장성군 64분류군, 나주시 62분류 군, 장흥군 61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7종류, 약용 66종류, 차 15종류, 전분 6종류, 유지 3종류, 밀원 2종류, 수액 2종류, 향신료 2종류, 향료 1종류, 섬유 1종류, 기타 14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용부위 로는 잎, 줄기,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지방 명의 일치성 여부에서 일치는 40종류(23.2%), 유사는 32종류 (18.6%)였고, 각 시·군별 지방명의 일치는 49종류(28.5%), 유 사는 44종류(25.6%)로 나타나 전라남도에서 민속식물의 54.0% 는 지방명으로 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의 이용정보 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였다.
        4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사회에서 차별받고 배제되는 타자의 존재가 아닌 다문화시민으로서 어떠한 의식과 권리를 향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초국가시대에 사회적·경제적 동기로 모국을 떠나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이주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거주국에 가정을 꾸리며 생활하면서도 그들의 민족적·문화적 정체성을 통해 다문화사회의 시민으로서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Kymlicka가 주장한 다문화주의 시민권을 토대로 한국에서 다문화시민으로 살아가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네트워크(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민족문화네트워크)와 그들의 다문화시민권리(정치적 공간 필요성, 문화적 권리, 특별대표 권리)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전라남도지역의 다수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9월 19일부터 2012년 11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8부의 표본을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와 다문화시민권리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네트워크와 민족문화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과정, 출신국, 현재거주지도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학력, 배우자 연령, 배우자 학력, 결혼기간은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네트워크, 민족문화네트워크와 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lements of soundscape in and around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and the standardized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popularized as farm village by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ing assistance policy located in the rural area of Jeollanam-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the sound environments in various observation points in order to utilize them as the important elements of sound scape to consider for standardized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development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traditional housing in rural area led more positive evaluation of nature sounds than standardized, newly developed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In the list of noises in each residential development type, traffic sounds and construction noise were majorly ranked. However, nature sounds had high rate of response in the sounds of introduction request. Additionally, the sounds generated by human activities such as whispering and footsteps were also in the wish list. This may suggests that soundscape design needs to approach in cultural level of a society rather than simple investigation and treatment of individual sounds of natural and artificial.
        4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3 types of bridge with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4 prospect points named A, B, C, and D will be simulated in one scene for final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On prospect point A,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arch bridge. In addition, for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the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at the arch bridge on prospect point B. At the on prospect point C,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At the on prospect point D, low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The high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cable stayed bridge. And, The low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is suitable for the Baegya Bridge than arch bridge in the Landscape point.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one bridge is not the same at different prospect points through above research.
        45.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sparities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between Guns(rural counties), and between Eups/Myuns(rural districts) in Jeollanam-do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imensions of regional disparity in basic living structure were measured by 3 components ; road, public water service and sewage disposal. By utilizing the published statistics, this study has examined 8 Guns(counties) containing Eup and Myon in Jeollanam-do province which can represent 4 different rural areal types, respectively, i,e. mountainous, semi-mountainous, flat and seashore areas. The data acquisition time of this study is fixed on end of 2009 year in order for possible collections of the most recent published statistics. It presents evidence on the magnitude and evolution of discussion of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Guns(counties), and between Eup & Myon, and between Myons in Jeollanam-do province even though infrastructure provision level of Jeollanam-do rural areas are much more improved than the past. Concludingly, the existing disparities in this area is meaningful and so, it should be seriously reconsidered when deciding local government's budget allocation priority.
        46.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s. Gageo (Jeollanam-do).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June 2008 to September 2011), and 465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112 families, 301 genera, 402 species, 3 subspecies, 49 varieties, 9 forms and 2 hybrids. 171 taxa were first records for the region. Among them were seven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three taxa. There were 54 taxa of the flora with the levels Ⅲ,Ⅳ,Ⅴ in the floristic indicator plants which wa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29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6.2% and 9.0% respectively.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Loxogramme salicifolia, Sarcandra glabra, Osmanthus insularis, Saussurea polylepis, Carex ligulata var. austrokoreensis, Hosta jonesii, Cyrtosia septentrionalis, etc., in this area. As therefore clear that appropriate plans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 of Is. Gageo must be made immediately.
        4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해양수산 분야의 정책 사업들에 대한 기반기술을 호남지역 Sea Grant 사업단(이하 호남 SG)에서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 전략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호남 SG의 목적은 과학적인 기반을 토대로 연구와 대민활동 및 교육을 전개하여 지속 가능한 호남지역 연안자원의 보존과 발전을 도모함에 있다. 전략수립을 위하여 우선, 80건의 전라남도 정책 자료와, 40건의 호남 SG 연구 자료를 입수한 후, 다섯 가지 해양수산 분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분야별 자료에서 핵심단어를 발췌한 후, 핵심단어에 내포된 의미를 '실용위주', '이론위주', '미래지향', '현재지향' 등 네 가지 척도를 갖는 4분법적 의미 분할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전략방안을 제안하고, 제안한 전략방안의 현장적용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