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41.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385명과 충청남・북도에 소재한 4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37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최기영, 서윤희, 박혜진(2011)이 개발한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검사 도구를 일부 수정한 것이며,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 전체와 하위범주 모두에서 유치원교사의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보다 높았다. 인식의 차이가 큰 하위범주는 전통놀이문화와 전통생활문화의 순이었으며, 인식의 차이가 가장 작은 하위범주는 전통역사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의 상관을 보였으며, 유치원교사가 보인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 상관계수가 예비유아교사의 상관계수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2.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m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43.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을 유형별로 나누어 갈등의 정도가 어떠하며,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파악해보는 데에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육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과정에서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의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자신과의 갈등’과 ‘유아와의 갈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관과의 갈등’과 ‘지도교사와의 갈등’이 다음으로 높았으며, ‘동료실습생과의 갈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