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6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port presents a summary of the Legacy of AKARI: A Panoramic View of the Dusty Universe meeting held between 27-29th February 2012 at Jeju Island, South Korea.
        4,000원
        67.
        201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erform imaging observations of optically red objects such as high redshift quasars and brown dwarfs, the Center for the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CEOU) recently developed an optical CCD camera, Camera for QUasars in EArly uNiverse (CQUEAN), which is sensitive at 0.7-1.1 μm. To enable observations with long exposures, we develop an auto-guiding system for CQUEAN. This system consists of an off-axis mirror, a baffle, a CCD camera, a motor and a differential decelerator. To increase the number of available guiding stars, we design a rotating mechanism for the off-axis guiding camera. The guiding field can be scanned along the 10 arcmin ring offset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telescope. Combined with the auto-guiding software of the McDonald Observatory, we confirm that a stable image can be obtained with an exposure time as long as 1200 seconds.
        4,000원
        7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results from large surveys of the local universe show that the galaxy-black hole connection is linked to host morphology at a fundamental level and that there are two fundamentally different modes of black hole growth. The fraction of early-type galaxies with actively growing black holes, and therefore the AGN duty cycle, declines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black hole mass. Late-type galaxies exhibit the opposite trend: the fraction of actively growing black holes increases with black hole mass. Issues of AGN selection bias and prospects for near-future efforts with high redshift data are discussed.
        4,000원
        75.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우주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우주를 물리적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많은 수의 학생들은 '우주'하면 아름답다는 느낌을 떠올리거나 미지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그림 표현에서, 학생들은 많은 경우 직관적으로 우주를 태양계 수준에서 파악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우주의 중심과 끝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 중 태양 중심, 지구 중심 또는 중심 없는 무한한 우주를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우주의 변화는 한 방향으로 일어나며 이를 물리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생들이 가진 이러한 개념에 영향을 준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을 성별, 신념별, 교과서 외의 천문 지식을 접해본 경험 유무로 그룹화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에 따라 우주의 중심과 끝, 우주의 변화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때 종교적 신념에 따른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우주관이 다양하며 이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영향을 줌을 보여준다.
        4,500원
        7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학 전공 대학생들과 과학 교육 전공 대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우주와 생명의 기원에 관련된 관점과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며, 신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한 현대 과학의 이해와 관련된 과목을 한 학기 수강한 이후에 일어나는 관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학 전공 대학생 26명과 과학교육 전공 대학생 1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경우, 수강 전 젊은 지구 창조론과 오랜 지구 창조론을 합하여 42%,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42%로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반해,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 대부분의 진화론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극단적인 입장의 창조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창조론을 지지하는 대부분의 응답자는 과학이 창조주의 업적을 기술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과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과학이 자연 세계에 대한 논리적이고 기술적인 체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신학 전공 대학생들이 현대 과학에 대한 이해와 관련한 과목을 수강한 이후, 젊은 지구 창조론과 같은 극단적 관점을 지지하는 경우가 23%에서 4%로 감소하였으며, 유신론적 진화론의 관점은 다소 증가하였다. 이는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과학 관련 과목 수강이 신학 전공의 바탕에서 과학적 진화론을 이해하려는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