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8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ly we observed that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hADSCs) could form aggregation during culture in the presence of human serum (H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xamined if the aggregation might result from the cell migration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cell adhesivity after culture in various conditions. When cells were cultured in fetal bovine serum (FBS) alone, there was no morphological change. Similarly, cells pretreated with FBS for 1 day or cultured in a mixture of FBS and HS showed little change. In contrast, cells cultured in HS alone exhibited formation of cell-free area (spacing) and/or cell aggregation. When cells cultured in FBS or pretreated with FBS were treated with 0.06% trypsin, almost cells remained attached to the dish surfaces. In contrast, when cells cultured in HS alone were examined, most cells detached from the dish by the same treatment. Treatment of cells with forskolin, isobutylmethyl xanthine (IBMX) or LY294002 inhibited the formation of spacing whereas H89 or Y27632 showed little effect. When these cells were treated with 0.06% trypsin after culture, most cells detached from the dishes as cells cultured in HS alone did. However, cells treated with IBMX exhibited weaker adhesivity than HS alon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is suggested that HS treatment might decrease the adhesivity and induce three-dimensional migration of hADSCs, in the latter of which cAMP signaling could be involved.
        8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산국화 유래 hydrosol의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s)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 평가를 통해 피부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산국화 hydrosol은 HaCaTs의 증식과 이주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며, 특히 1 μg/mL에서 음성 대조군(control)에 비해 143.71 ± 3.37%의 증식과, 139.98 ± 5.72%의 이주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국화 hydrosol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 1/2)와 serine/threonine-specific protein kinase (Akt)의 인산화를 유 의하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collagen sprout out 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서 산국화 hydrosol은 정상적인 재상피화 과정과 상처치유 등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8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out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of Korea, migration occurred within a spatial hierarchy, with upward flows from rural areas to urban. The concept of step migration is a typical theory to explain these upward migration flows. Recent migration data and trends, however, indicate that migration-pattern regime shows strongly opposite-direction flows, with many of the major migration flowing downward on this national-spatial hierarchy, away from urban area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most recent structure of migration flows up and dow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We define seven tiers to tabulate origin-destination migration flows from population density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the period 2001-2014, and then analyze the migration patterns between the tiers over time. The results show differentiated patterns of migratio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over time including specific states of migrants’ life cycles.
        84.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 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 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 μ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 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 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5.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fish-migration ratios of rivers were analyzed, with the aim of proposing objective materials to help South Koreans to establish fish migration systems efficiently in the future. A total of 34,012 weirs have been built in the five major basins, with 5,081 fish-ways observed. Consequently, the fish migration ratio was considered low (14.9 %).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analyzing the 5,081 fish-ways, standard-type fish-ways took up 68 % of the total while the non-standard types accounted for 32 %. The five major basins were observed to have a total fish-migration ratio of 21.4 %. Regarding tributaries, Tributary 1 accounted for 27.5 % of the fish-migration ratio, while Tributary 2 and 3 accounted for 19.8 % and 16.3 %,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any relevant field in the fishing industry of South Korea need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fish-migration ratio. This would be expected, eventually, to help them maximize the efficiency of a minimum number of fish-ways. In addition, the study supports the need for those in relevant fields to study carefully the ecological needs of each fish species, before establishing priority standards for the building of fish-ways.
        8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콘크리트의 대표적인 내구성 열화요인이라 할 수 있는 동결융해나 염해의 경우는 콘크리트내의 공극특성에 따라 침투 및 확산특성이 크게 상이하게 되는데, 이는 동결융해저항성 확보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E제의 종류나 사용량 그리고 그의 경시변화 특성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목표 공기량을 각각 4~6%와 8~10%로 계획하여 실내시험을 실시한 후, 모의부재에서는 4~6%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경화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재령 7일에서 각각 2.5~5.2%, 재령 28일에서는 각각 2.4~5.1%정도로서 비빔직후 목표공기량의 절반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스케일량은 목표공기량 8~10%의 경우가 4~6%에 비해 미미한 수준에서 다소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모의부재에서 채취한 코어공시체의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특성에서는 동일배합조건의 실내시험 결과에 비해 다소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내실험 결과에 비해 동결융해는 106%, 염화물 확산계수는 16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7.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적하천의 복잡하고 다양한 이동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하천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저수로의 이동 및 하상저하로 인하여 취수문제가 있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해평취수장 주변에 대하여 항공사진 분석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하천의 지형변화, 저수로의 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저수로는 좌안에서 우안으로 이동해 가고 있으며, 저수로는 강턱유량에 대하여 복렬사주가 발달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폭이
        88.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diverse studies in population migration, there has been a strong age-dependent population distribution in Korea. It is shown that a particular age-group tends to reside in a particular locale or community and the effect possesses usually statistical significance. We quantitatively address this issue: how certain division of age group resides in different region of the country, and investigate possible cause of this migration pattern for different age groups. In this study, population migration trend at age groups of 20s, 30s, 40s and 50s has been analyzed incorporating a spatial econometrics model that accounts for diverse statistical pitfalls such as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atial dependency. We found that migration trend for different age group corresponds to regional characteristics differently. The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s a need of further stud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