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4

        8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PSC 거더의 긴장력을 계측하기 위한 EM 센싱 기법을 다양한 PS 텐던에 적용하기 위하여 PS 강종별 긴장력 변화에 따른 자기이력 모니터링 결과를 소개한다. PSC 교량의 성능평가에 있어 PS 텐던의 긴장력은 매우 중요한 인자이나 현재는 시공시 설계 긴장력의 도입 여부만을 검증하고 그 이후에는 긴장력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를 계측하기 위하여 EM 센서를 이용하여 긴장력을 계측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PSC 거더에 사용되는 모든 PS 텐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C 교량에 주로 사용되는 B, C, D종 PS 텐던에 대해 EM 센싱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각 강종별 긴장력에 따른 자기 이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이를 위해 B종 12.7mm, C종 15.2mm, D종 15.2mm PS 텐던 시편에 50, 100, 150, 180kN의 긴장력을 도입하고 각 긴장력 단계마다 자기 이력 곡선을 EM 센서를 통하여 계측하였다. 계측 결과 각 긴장력 단계마다 그 투자율이 정량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 C 종의 경우 단면적이 달라 선형회귀분석식의 상수는 상이하지만 유사한 기울기를 가지고 변화하고 D종의 경우 다른 강종과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86.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eismic design, the approximate natural period equation is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country. Korea is currently using what is prescribed by KBC 2016. The natural period is a physical quantity related only to the stiffness and mass of the structure. If the mass is constant, the natural perio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stiffness.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 is to evaluate the lateral force capacity inherent in the current approximate natural period equation. To grasp seismic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lateral resisting force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know the lateral resisting capacity, the analytic model buildings were designed to have the exactly same as approximate natural period specified in the current standard, and nonlinear push-over analysis was perform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base shear coefficient and roof drift angle etc were discussed and evaluated.
        4,000원
        8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mean peak mobilization forces to the lumbar spine 1-3 with grade III and grade IV of posteroanterior (PA) mobilization. Twenty subjects with no history of Lumbar back pain (LBP) (10 female, 10 male) with a mean age of 24.1 years (SD = 6.0)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nd PA mobilization were performed in each spine and the therapist took approximately 2.5s to complete mobilization. In the results, applied grade IV force showed no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egment in LS1, LS2, LS3, however,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LS1 and LS2, LS1 and LS3 during mobilization with grade III forc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an peak force of the grade III and grade IV mobilization in the L1-L3 was almost similar each other.
        4,000원
        8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mean peak mobilization forces to the cervical spine 3-5 with grade III and grade IV of posteroanterior (PA) mobilization. Asymptomatic 25 colleg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trial and eligible physical therapists performed cervical mobilization. The mean peak mobilization force was measured during the PA mobilization with grade III and grade IV by attaching a flexible force transducer over the C3-C5 spinous process. Three cycles of PA mobilization were performed in each spine and the therapist took approximately 2.5s to complete mobilization. After applying the grade III mobilization to the C3-C5, 30 minutes later, the grade IV mobilization was applied to the same area aga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3, C4 and C5 during grade III as well as grade IV. Upon comparing the mean peak force of grade III with mean peak force of grade IV at the C3, C4 and C5 respectively, an in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observed. The mean peak mobilization force was 4.53±1.79 N at the C3, 5.10±1.91 N at the C4, and 5.17±2.63 N at the C5 during grade III force was applied. The mean peak mobilization force was 4.40±1.56 N at the C3, 5.53±2.01 N at the C4, and 5.38± 2.73 N at the C5 during grade IV force was applie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an peak force of the grade III and grade IV mobilization in the C3-C5 was similar each other,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an peak force of grade III and grade IV on C3, C4 and C5.
        4,000원
        8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류흐름에 의한 다양한 진동현상이 구조물에 발생한다. 이중 와류에 의한 진동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와류의 방출진동수에서는 Lock-in 현상에 의해 큰 진동을 유발하며 구조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와류 현상은 등류에서 관찰되는 현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 경계층에서 높이에 따라 풍속이 변화하는 난류에 의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와류의 영향을 풍동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탄성체 모형실험으로부터 계측된 가속도로부터 하중추정법을 이용 하여 와류진동을 발생시키는 1차 모드 와류하중을 추정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와류하중의 스펙트럼을 보면 구조물 최상층 풍속의 약 88-90%에 해당하는 풍속에서 와류방출진동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피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풍 속이 점차 증가할수록 와류하중의 스펙트럼의 진동수범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난류에 의한 와류하중을 특성을 반영 하면 초고층 구조물 등에 발생하는 풍직각 방향의 진동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evaluating equations of bursting force in different codes, comparative study of the formulas was conducted. Because the equations does not consider variables such as shape of anchorages, angle of tendons, and eccentricity, a relation between the bursting forces and the variables has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bursting forces computed by equations in the code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could be figured out that bursting force equations in the local zone were determined by coefficient k.
        4,000원
        92.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times,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sensor on a certain location of a structure due to the size of a structure or poor surrounding environments. Even if possible, sensors can be frequently malfunctioned or improperly operated due to lack of adequate maintenance. These kind of problems are solved by the virtual sensing methods in various engineering fields. Virtual sens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measure data even though there is no physical sensor. It is expected that this technology can be also applied to the construction field effectively. In this study, a virtual sensing technology based on ARX model is proposed. An ARX model is defined by using the simulated data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rather than by actually measured data. The ARX-based virtual sensing model can be applied to estimate unmeasured response using a transfer function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oint data. In this study, a simulation and experimental study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oposed virtual sensing method with a laboratory test on a cable-stayed model bridge. Acceleration measured at a girder is transformed to estimate a cable tension through the ARX model-based virtual sensing.
        4,000원
        93.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s are commonly used to improve the stabilizing ability of the infraspinatus. Although the side-lying wiper exercise (SWE) is the most effective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 to maximize infraspinatus activity, the effect of adduction force on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has not been demonstrated. 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horizontal adduction force increases infraspinatus activity and decreases posterior deltoid activity. Methods: Twenty-eight healthy subjects (male: 21, female: 7; age=23.5±1.8 years; height=170.1±7.4 ㎝; weight=69.4±9.6 ㎏) were recruited.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SWE under two conditions: (1) general SWE and (2) SWE with adduction force using pressure biofeedback.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signals of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were recorded during SWE. 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EMG activity of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between the two conditions. Results: Posterior deltoid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SWE with adduction force (7.53±4.52%) relative to general SWE (11.68±8.42%)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raspinatus muscle activity between the SWE with adduction force (28.33±12.16%) and the general SWE (26.54±13.69%) (p>.05). Conclusion: Horizontal adduction force while performing SWE is effective at decreasing posterior deltoid activity.
        4,000원
        95.
        201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domain evolution processes of a near-morphotropic PZT ceramic during poling was studied using vertical piezoresponse force microscopy (PFM). To perform macroscopic poling in bulk polycrystalline PZT, poling was carried out in a stepwise fashion, and PFM scan was performed after unloading the electric field. To identify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and planes for the observed non-180o domain walls in the PFM images, compatibility theory an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PFM. Accurate registration between PFM and the EBSD image quality map was carried out by mapping several grains on the sample surface. A herringbone-like domain pattern consisting of two sets of lamellae was observed; this structure evolved into a single set of lamellae during the stepwise poling process.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observed domain evolution process was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growth of lamellae is determined by the potential energy associated with polarization and an externally applied electric field.
        4,000원
        9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수소이온이 전해질막 내부에 형성된 수화채널을 따라 서 얼마나 빨리 전달될 수 있느냐이다. 여기에는 수화채널의 모폴로지 및 수소이온의 확산도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는 데,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자동역학 전산모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분자동역학 계산에 있어서 각 원자의 움직임 및 상호작용을 미리 변수화 시켜 놓은 force-field는 필수 요소 중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force-field의 종류가 전해 질막 전산모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force-field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수소이온 확산도를 계산하였다. 이 과정에서 non-bonding interaction을 결정하는 전하 값이 수화채널 모폴로지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는 것이 밝혀졌으며, COMPASS force-field가 가장 정확한 수소이온 확산도 값을 얻음으로써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전산모 사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force-field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force-field의 적절한 선정은 최종 분자 구조 뿐만 아니라 수 소이온 확산도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전산모사 수행 시에는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감안하여 force-field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9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는 팔각기둥 형상을 가진 구조물의 풍력계수는 형상비 25이상에서 1.4로 일정한 값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팔각뿔 형상인 첨탑 구조물은 팔각기둥과는 그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첨탑 구조물에 적용할 풍력계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풍동실험을 이용하여 첨탑 구조물의 형상비 변화에 따른 풍력계수 특성을 규명하였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력계수는 형상비가 증가할수록 커진다. 하지만 특정 형상비를 초과하면 풍력계수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수렴한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예비실험은 형상비가 10~19.2인 모델에 대해 수행하였고, 풍력계수가 수렴하기 시작하는 형상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15 이상의 형상비에서 풍력계수가 약 1.1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상비 변화에 따른 풍력계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형상비 3~8.5 까지의 모형을 추가 제작하여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형상비 변화에 따른 풍력계수의 변화를 경험식으로 제안하였고, 추세한 값들이 실험값 보다 작지 않도록 보정하였다.
        4,000원
        10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식별기술과 칼만필터링을 기반으로 계측된 가속도응답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달하중을 역으로 추정하는 기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하중추정 과정에서 가속도응답은 모드응답으로 분해되며 각 모드응답에 대한 모달하중을 역으로 추정한다. 역해석과정에서 발생하는 ill-posed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가상진동기에 의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보다 정밀하게 구하기 위한 시스템 식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을 위하여 40층의 철골구조물에 태풍이 작용 했을 때 계측된 가속도를 사용하였다. 적용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하중추정법에 의하여 모달하중 추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