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

        161.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선시대의 기생의 기원과 제도, 기생의 역할, 평양기생학교를 통한 기생의 원래의 의미인 전통적인 조선시대의 아티스트(Artist)임을 재조명하고, 기생학교의 제도와 규칙, 교육과정, 수업시간표, 졸업 앨범, 각종 사진첩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기생의 역할과 평양기생학교 등의 재조명 및 분석을 통하여 전통적인 문화를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소재로 발굴하므로 이를 디지털콘텐츠인 게임콘텐츠, 디지털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화 할 수 있도록 소재화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조선의 기생의 아름다움과 아트적인 재능, 사회제도 및 기생학교 등을 발굴하여 원화기획(컨셉 디자인) 및 디지털시나리오 화하므로 경제성이 강한 문화콘텐츠로 발전시키며, 평양기생학교의 교육시스템, 교육내용, 학생 현황 등을 발굴하여 육성 및 경영시뮬레이션 게임의 제작 컨셉 도출 및 게임제작, 애니메이션 및 TV드라마, 디지털 애니메이션 및 영화 제작의 문화콘텐츠의 창작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162.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창작무용학습이 유아의 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D지역의 유치원 두 곳의 유아 만 4,5,6세로 총 69명이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무용학습은 주 3회 40분씩 12주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지능발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전과 후 지능검사를 하였다. 검사지는 김재은의 유아지능검사 B형으로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지능발달의 차이를 규명하기위하여 각 지능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집단간, 연령별, 성별 사전․사후지능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과 반복 t-test를 각각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처리의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는 첫째, 창작무용을 학습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지능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간의 연령별(4,5,6세) 지능발달차이는 4세, 5세, 6세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두 집단간에 성별 지능발달은 남여 유아 모두에 차이가 있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