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한시에 대한 언어의 일연구로 한자로 된 시어의 상징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의 일환이며 그 새로운 텍스트로 문자유집에 천착한 연구이다. 이 책은 창작 년대나 작가에 대한 언급이 없고 목차와 유별로 나누어진 한자어들만 잔뜩 기록된 채로 책의 편찬의도와 내용을 소개하는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서 정확한 용도를 잘 모르고 있었다. 이 책의 목차를 살펴보면 天道門 36조항, [地道門] 25조항, [萬物門],118조항, [人倫門], 52조항, [人事門],54조항, [君道門],29조항, [臣道門],13조항, [天官門]13조항, [地官門],45조항. [春官門],36조항. [夏官門],25조항. [秋官門],6조항. [冬官門], 9조항. 으로 분류하여 13개의 유목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뒷부분에 두 글자, 세 글자, 네 글자로 된 한자어들이 순서대로 분류목외에 실려 있고, 사자성어가 분류 목을 떠나서 무려 900여개가 실려 있다. 총 13개 대목으로 분류하여 나누고 각 대목마다 각 세목으로 나누어 총 460여 항목에 일만여 개의 시어를 수록하고 있으며. 목판본으로 112면을 이루고 있다. 이 책은 한시의 창작을 위하여 고안된 일종의 시어 사전이다. 한시가 생활화된 당시 문자예술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시어 사전으로 여러 가지 생활 주변에서 만들어 질 수 있는 시어를 정련하여 한시의 형식에 맞게 다듬어서 분야별로 엮어 놓은 것이다. 이 책에는 까다로운 한시형식에 적용될 수 있는 일만여 개의 시어들은 하나하나가 모두 글자 수와 음조와 대구가 고려된 것이다. 시어에 대한 조어의 묘에는 시인의 예술혼이 살아 숨 쉬며, 함축과 비유, 상징과 이미지, 압운의 음조미, 대구의 조응미 등의 문예미학이 주옥같이 서려 있다. 문자유집은 시어사전으로 비유사전이면서 동시에 이미지 사전이며 상징사전이다. 문자유집은 시어의 보고이며, 문자예술의 혼이 담긴 시어의 소우주이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