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말소리는 분절음(segmental phonemes)과 초분절소(suprasegmental phonemes)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절음은 音色으로 분별하는 자음과 모음이며, 초분절소는 소리의 고저, 강약, 장단으로 의미를 분별하는 요소이다. 한어의 음절은 분절음인 성모와 운모 및 초분절소인 성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분절음인 성모와 운모만의 구성을 분절음절이라고 할 수 있다. 한어의 음절을 구성하는 규칙은 매우 고정적이고 간단하기 때문에 음절의 수량과 분포 상태 역시 비교적 단순하다. 비록 그 동안 현대한어의 음절수와 분포 상태에 대해서는 줄곧 많은 관심을 가졌지만 방언 어휘, 감탄사, 의성사, 문어 어휘 및 경성음절의 수록 범위가 일치하지 않아 각 사전의 음절과 분절음절의 수량과 분포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중국에서 출판한 《现代汉语词典》《新华字典》《现代汉语规范字典》《现代汉语规范词典》과 일본에서 출판한 《中日大辭典》 및 한국에서 출판한 《中韓辭典》(고대 민족문화연구원)《中韓辭典》(두산동아) 등 7종의 자전 혹은 사전을 선택하여 각 사전에 수록된 기본음절, 비기본음절, 경성음절과 기본분절음절, 비기본분절음절, 경성음절을 모든 사전에 수록된 공통음절과 어느 일부의 사전에 수록된 개별음절로 나누어 수량, 분포 상태 및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7종 사전에 수록된 공통음절은 1277개(경성 24개 포함)이고,개별음절은 99개(경성음절 38개 포함)이어서 음절 총량은 1376개이며, 7종 사전 전부에 수록된 공통분절음절은 404개이고 개별음절은 18개(특수음절 7개 포함)이어서 분절음절 총수는 422개이다. 경성음절의 수록 조건과 범위에 대해서는 모든 사전이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아 각 사전의 수록 범위가 일치하지 않다. 《现代汉语规范词典》을 편찬한 주요 목적은 현대한어의 표준화에 있으며, 실제 공통분절음절 404개 외에 기본음절로 편입된 분절음절 “cei”와 “eng”를 표준으로 인정하고 기타 특수음절은 모두 취소하였으므로 결국 표준 분절음절은 406개이고 비경성기본음절은 1272개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다.
        8,900원
        2.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在汉语的音节单位中,韵腹是不可缺少的音段音位,声调是不可缺少的超音段音位。因此,我们认为韵腹和声调是分化汉语音节功能最大的因素。汉语的音节结构本身很固定,音节构成还有许多限制条件,因而音节数量实际上要比简单的数学组合少得多。从古代汉语到近代汉语,汉语语音朝着简化的方向发展,尤其北方话的浊音清化而引起的声母数量的减少和入声韵尾的消失使得音节的数量大幅减少,发展到现代,普通话的音段音位的组合只有400多个,包括声调的音节只不过1200多个。汉语是一个音节可以作为词或者词素的单音节语言,同一个音节有不少包括许多的意义,很多单音节单位离开上下文无法区分出意义,只有在多音节的组合中才能区分出意义。因此,分化同音字的根本出路是扩展音节,由单音节发展为多音节。汉语词汇的复音化从上古后期就开始,音节的数量逐渐减少,而词汇的数量却随着社会的发展而大量增加,势必产生大量的同音词,影响人们的交际。因此词汇只能单音节向多音节(包括双音节)发展。例如;《普通话三千常用词表》的3,996个常用词汇中,多音节词汇多达71.65%之多,单音节只有28.35%,单音节词汇中,音段音位同一,只能依靠声调分别词义的占58%,包括声调同一音节的占42%,可见在单音节词汇中声调的音节分化能力还很明显,但音节数量不足同音比率依旧过高。《普通话三千常用词表》的多音节词汇中,因音段音位同一,只能依靠声调区别词义的占5.76%,包括声调同一音节的占0.84%,可见在多音节词汇中,声调的区别意义的作用大幅下降。 为了研究多音节词汇数量和声调的分化能力之间的相关关系,本文分析了《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的各等级别多音节词汇数量与音段音位 如表所示,随着多音节词汇的增加,音段音位同音率和音节同音率按累进比率增高,声调仍然持有一定程度的词汇分化能力,但是与单音节的同音率比较,多音节的同音率要少得多。甚至在许多已经词调化(金立鑫,2008)的多音节词中,某些单音节语素的声调通过轻声化的途径开始消失。因此可以说普通话的声调作用正在演变过程中,声调在区别意义上还存在一定的功能,但是这个作用在多音节词中越来越弱,只有在单音节中才基本保留其辨义的功能。
        8,100원
        3.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