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箴銘文’은 유구한 역사를 가진 문체로서 주로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작성되는데 중요한 현실적인 의미를 가진다. 조선시대 주자학이 통치사 상과 핵심적인 사회 가치로 수용되면서 성리학의 ‘持敬’・‘愼獨’・‘修身’ 등 경계하는 뜻을 담던 ‘箴銘’은 널리 유전되었다. 조선전기 문인사대부에 게는 ‘箴銘文’이 문학이기 전에 생활이었다. 이런 사회적인 배경 하에 退 溪 李滉은 조선 성리학을 발전시킨 태두로서 ‘善思’의 정신을 가지고 宋 儒의 ‘箴銘’을 註疏・考證함으로써 文義를 투철하게 분석하였다. 古鏡重 磨方의 편찬 및 「聖學十圖」의 작성을 통해서도 퇴계의 뛰어난 학술적 인 성과를 엿볼 수 있다. 이외, 서예에 조예가 깊은 퇴계는 항상 箴銘을 手書하였고 箴銘을 깊이 체인하여 실제로 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冊板目錄에 의하여 18세기부터 退溪‘箴銘帖’은 본격적으로 간행되었고 「四勿箴」・「大寶箴」・「元朝五箴」・「毋不敬」・「思無邪」・「愼其獨」・「懲忿窒慾」・ 「屏銘」・「箴十帖」・「晦齋所製退溪所書十六詠及元朝五箴」・「思無邪 毋不敬 愼其獨 毋自欺 懲忿窒慾」 등 11종이 開刊되었다. 그중 「元朝五箴」은 17~ 19세기 鎮安・榮川・安東・禮安・慶州 등 많은 기역에 開刊되었고 가장 보편 적으로 간행된 退溪‘箴銘帖’였음으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端嚴謹重’한 글씨는 退溪의 持敬端正한 마음을 보여주었고 ‘箴銘帖’의 刊行은 퇴계의 治學精神 및 學術思想의 傳承으로 볼 수 있다. 또한, 18~19세기 退溪의 ‘箴銘帖’은 ‘端本正源’・‘衛道息邪’의 사회적인 의 미를 가지고 있었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