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동방문화와 사상 KCI 등재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9 (2020년 12월) 9

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에서는 五行의 起源과 관련하여 역사적 기점을 선사시대와 夏⋅殷⋅周 삼대로 대별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오행의 원시적 의미를 다양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첫째, 먼저 先史時代기원설과 관련하여 선사시대의 유물과 유적을 통해서 동서 방향의 구분이나 四神의 초기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을 오행설의 초기 형태와 연계시킬 수 있다. 둘째, 夏⋅殷⋅周삼대 기원설과 관련하여 『尙書』에 보이는 오행 관련 자료를 종합하면, 오행은 殷⋅周交替期에 명시적으로 정리되고 활용된 것으로 보이고, 그 의미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다섯 가지 물질이며, 나아가 그것을 주관하는 부서 및 관료를 지칭한 것이다. 셋째, 오행의 원시적 의미와 관련하여 殷代人의 역사와 생활 조건을 고려 하면 직관적으로 하늘과 땅의 구분에서 하늘(上帝)이 우선하며, 해와 달의 구분에서 해가 우선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계절의 변화와 아울러 오방 관념이 분명히 보이므로 오행설의 원형으로 추론할 수 있지만 자신들을 “中商”이라 고 지칭하여 사방과 차별하는 관념을 볼 수 있다. 요컨대 오행설은 상고시대의 上帝를 전제로 하던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西周시대에 이르러 오행이 지시 하고 적용되는 범위가 확대되면서 그 의미가 다섯 가지 기본 물질로부터 그 것을 관리하는 부서와 官僚를 의미하기도 하고, 相生⋅相克의 관계로 심화되 었으며 秦漢代에 이르러 陰陽과 아울러 인간과 우주 만물의 생성 변화 및 분류의 표준으로 정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6,900원
2.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석사는 676년 의상이 창건한 우리나라 화엄종의 본찰로서, 2018년 유네 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창건자인 의상은 신라 통일기 입당승으로서 풍수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실제로 부석사의 창건과정 및 설화에는 풍수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내용들이 담겨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풍수의 관점에서 부석사의 입지 및 가람배치의 특 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석사의 입지는 풍수의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길(吉)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고, 특히 기도 도량에 적합한 입지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부석사의 가람배치를 대표하는 두 가지 특성인 여러 단의 석단과 굴 절된 축선은 부석사가 자연지형에 최대한 순응해 건축물을 배치한 결과로 해 석되며, 이것이 무량수전 및 범종각 영역이 각각의 안대를 갖게 된 원인으로 작용했다.
6,400원
3.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청대 명리학 고전 『자평진전』 격국⋅용신의 부귀론 연구 에 있다. 기존 학계에서 여러 편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지만, 발표된 논 문의 글이 인사(人事)와 어떤 연관이 있고 또한 인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한 연구 성과를 찾기 어렵다. 이에 필자가 『자평진전』 격국⋅용신을 연구한 결과, 『자평진전』 격국⋅용신이 동서고금의 거의 모든 사람이 소망하는 부귀 에 집중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 부귀는 오늘날 현대인의 소망이기 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자평진전』 격국⋅용신에서 사용되는 길신⋅흉신의 유래와 변천과정 및 유래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순용(順用) 격국⋅용신론’의 부귀 론과 ‘역용(逆用) 격국⋅용신론’으로 나눠서 부귀론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네 길신인 정관, 인수, 식신, 재성은 순용(順用)하고, 네 흉신(凶神)인 칠살(편관), 상관, 양인, 겁재⋅일록은 역용(逆用)하는 데에 있다는 것과, 또한 네 길신(吉 神) 순용에는 음양오행설의 생(生), 네 흉신 역용에는 음양오행설의 극(剋)과 합(合)과 설(洩)의 이론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문헌의 격국⋅용신론이 최종 지향하는 바는, 재물획득을 통한 부(富)와 관직획득을 통한 귀(貴)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이 문헌 격국⋅용신론의 핵심이 ‘부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6,300원
4.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도권 인근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을 풍수적으로 해 석하고, 풍수적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각종의 비보물의 존재형태와 기능분석 으로 전통마을의 전개⋅발전되었음을 논증하는데 있다. 연구 사례지 는 총 15 개 마을이며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양평지역은 조산, 정자, 숲을 통한 비보가 있었는데 흉상차 폐 및 지맥연장, 수구막이 숲 등이 존재하였다. 양평지역은 한강 및 흑천 등 이 흐르고 마을은 하천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주로 하천의 풍수적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비보 물이었다. 둘째, 용인지역은 산세가 수려한 지역이다. 비보의 형태는 주로 수구막이 숲이 대부분이었고, 지맥연장비보 및 돌(石)비보의 형태가 존재하였다. 용인지역은 중부내륙에서 볼 수 있는 산간 지역 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보 물이었다. 셋째, 이천지역은 남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이 대부분이고, 마을은 대부분 평야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평야지역이라 하더라도 대부분 하천을 끼고 있고 있음으로 인해, 평야지역과 하천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보 물 이었다. 본 연구 대상지에서 가장 많은 비보형태는 수구막이 숲이었고, 다음으로 지맥연장, 조산비보 등이 있었다. 또한, 돌을 매개로 한 비보형태도 발견되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보 숲은 기후조절효과, 휴양효과⋅ 마을 구 성원들의 위한 화합장소로서의 효과 등이 나타나, 이들 숲을 비롯한 비보 물들이 전통마을의 지리적⋅지형적으로 전개, 발전된 것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7,800원
5.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원 전후 패자시대 전쟁 발발 전략전술에서 지역적 지리적 계책을 포함한 그 주지적 특징을 갖춘 인물들은 사해와 중원을 지시하는 남북 可合可用의 원칙적 지략을 운용함으로서 그 후속 세계의 정치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특히 唐代太宗(626-649) 李世民(598-649)은 三省六部制에 의한 貞觀之治를 통 하여 그 정치, 경제, 문화 부흥에 일조를 한 역사적 사실에서 ‘自古之政’, 그 지역문화와 지리환경의 정책적 향방을 결정짓는다. 그 전거의 일면은 태종 이 세민의 奇正兵法활용도를 통한 전쟁 성패의 가능성 판단력으로서, 『李衛公 問對』에 적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唐代太宗(626-649) 李世民(598-649)은 李靖(571-649)과의 대화체에서 諸葛亮 (181-234)의 七擒孟獲전략전술을 당시의 최대 관심사였던 대고구려 정벌에 관한 淵蓋蘇文(603-666)의 사회적 지위와 그 평가에 대입하여 신라와의 교섭 및 고구려와의 대치 국면을 논한다. 그것의 전략적 근거는 奇正虛實에 관한 형세에 두고 있다. 또한 상권, 중권, 하권으로 분류한 대화문답의 형식적 기술 내용에서는 기원 전후 전쟁사와 정치사에서 주목한 주요 인물들과 그 관련 사건사고를 통한 그 역사적 전거 진위를 밝힌다. 이는 물론 전쟁 발발 전후 상황에서의 전략전술, 인재상, 군신관, 외교정책, 군사기밀 등에 관한 내용이며 그 사실적 전거의 역사적 고증 해석 방법에서의 모순적 의미와 그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武經七書』를 집대성한 시기 전후 『李衛公問對』에서는, 그 역사적 정치적 군사적 인물들과 당대 시대사조 경향 및 그 사실사건에서의 논쟁적 변론, 그리고 그 주지적 견해는 실제의 실재로서의 사실 상황 평가의 기준으로서 그 전거의 역사적 이론적 심미적 의미 및 그 의의를 담고 있다.
8,600원
6.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민간회화로서 민화의 가치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민화에 관한 연구는 무명(無名)의 작가에 의해 제작된 ‘생활화’라는 이유로 미술사 안에서 연구가 부진했었다. 이러한 연유로 연구자마다 민화의 개념과 특성을 조금씩 다르게 설정하기도 한다. 이 같은 여건에서 본 논문에서는 민화의 주요한 특성을 민간회화로서 민화만이 갖는 가치가 있다고 보고 이를 주제로 설정한 후, 통속세계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민화가 유행할 시기에 중국에서는 민간 연화가 성행하였으며, 다른 동아시아에서도 민간회화가 부흥한 측면이 있다. 여기서는 우리 민화와 가장 연관성이 짙은 중국의 민간연화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민화가 지닌 민간회화로서의 미적 특수성을 찾고자 한다. 민간연화는 우리의 문배(門排)에 해당하는 문신(門神)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그림의 도상이나 내용적 측면에서 여러 비슷한 점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생산자와 향유자가 같은 층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민간의 사상이나 감성이 집약되어 있는 예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것은 문화를 독점했던 계층이 다 수의 대중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려준 것이며, 통속적인 그림의 예술성을 인 정한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화가 최초의 대중예술로 서 가치가 있으며, 이것은 민화의 본질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6,100원
7.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우도에 연고를 둔 함인재 정국채는 19세기 초반 무렵을 활동기로 삼았던 노론 계열의 재야 유학자다. 과거업을 단념한 채 오롯이 학문 연마에 매진했던 정국채는 정주학과 예학⋅농학 세 범주에 걸쳐서 괄목할만한 학적 성취를 이루었으나, 주요 저서들이 모두 일실된 상태다. 게다가 문집인 『함인재유고』도 지금까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탓에, 정국채를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도 극히 일천한 실정이다. 이에 논자는 이미 진척된 기존의 몇몇 연구를 토대로 하여 정국채가 평생토록 주력했던 정좌 수행에 관한 논의를 개진하게 되었다. 그런데 저서가 일실된 탓에 추적이 불가능한 예학⋅농학의 경우와는 달리, 문집인 함인재유고에는 정국채가 행한 정좌 수행을 서술한 내용들이 비교적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는 상태다. 특히 정국채는 그가 사사(師事)했던 스승인 성담 송환기와 경호 이의조에게 정좌법과 관련하여 교차적인 질의를 던진 사실도 눈길을 끌게 한다. 왜냐하면 이 같은 정황은 19세기 무렵까지 전승되어 온 노론계의 학문 방식을 확인시켜 주고 있기 때문이다. 정국채의 경우 정좌의 이론적 전제에 해당하는 주자학적 함양설, 특히 일념이 발동하지 않은 미발시의 심체 상에서의 “정좌시(靜坐時)의 기상(氣像)”을 체인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전개하였다. 정국채는 고인⋅선유들도 이처럼 지난한 공부론적 과정을 경유했던 것으로 확신했고, 그에 따라 정좌야말로 위기지학의 세계로 진입하는 첩경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물론 정좌가 항상 순탄하게 진행되었던 것은 아니나, 그 관심과 열정의 정도란 주자학적 공부론의 또 다른 한 축인 성찰설에 대한 그것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정국채가 타계하기 직전에 남긴 서신에는 “늘 깨어 있는” 경지가 감지되지 않는 대신에, 계속된 병마와 심히 고단했던 일신상의 처지만이 풍겨 난다. 이는 정국채가 주자학적 거경⋅궁리론 중에서, 후자인 독서에 의한 궁 리가 결실한 학문세계와는 판이한 양상인 것이다. 또한 정국채가 취한 정좌가 과연 유학적 종지에 적법한 방편이었던가? 하는 문제점과 함께, 또한 군자유의 도정에서 분명한 실효성을 담지한 교육적 수단이었는지 하는 의문점도 제기된다. 그런 점에서 서계 박세당과 다산 정약용이 순차적으로 제기한 함양설과 선불교 비판은 제기된 두 사안들에 대해 유의미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 주고 있다.
7,800원
8.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리학자가 아니라 철학자로서 장소를 다룬 말파스(Jeff Malpas) 의 관점과 중국 도가(道家)의 고전인 『장자(莊子)』의 관점을 토대로 장소와 존재의 근거, 구별, 중첩을 탐구하였다. 장소와 공간은 고대부터 다양하게 논의 되어 왔다. 1970년대 들어 인본주의 지리학자를 중심으로 장소를 공간과 분리 하여 논하기 시작하면서, 장소는 의미 없는 영역인 공간과 달리 인간이 중심이고, 경험과 애착이 더하여진 곳으로 언급되었다. 말파스는 하이데거의 장소 존재론을 확장하여 논의하며, 인간 존재가 근거할 수 있는 것으로 장소를 보았다. 『장자』의 호접지몽(胡蝶之夢)에서 ‘나비’이게 하고 ‘장주’이게 하는 것은 각각의 장소에서 가능하다. 이는 “장소가 주관성 위에 확립되는 것이 아니라 주관성이 장소 위에서 확립되는 것”이라는 말파스의 주장과 통한다. 더불어 하이데거가 주장한 ‘존재’가 그 자신을 열어 밝히기 위해(to disclose) 필요로 하는 그 장소(stätte)로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과도 통한다. 반면 고대 중국의 사유에서 중국인들은 인간과 분리된 존재를 상정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장소는 인간 존재의 근거가 된다. 장소 존재론을 근거로 생각하면, 각각의 장소에 각각의 존재가 들어서며 구별이 생긴다. 이러한 예는 『장자』 곳곳에서 발견된다. 붕정만리(鵬程萬里)와 관련한 대붕과 매미, 지어지락 (知魚之樂)을 논하는 장자와 혜자 등. 주체의 존재는 복잡한 형태의 공간성의 존재와 ‘동시적’이다. 그리고 객관성의 파악은 공간성의 파악을 요구한다. 이 것은 ‘나비’와 ‘장주’의 장소를 넘어, 이를 인식하고 있는 화자인 ‘나’, 간과 쓸개의 장소를 넘어 있는 ‘관찰자’, 초나라와 월나라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있는 ‘관찰자’를 상정할 수 있다. 이것은 분별을 넘어선 또 다른 장소이다. 그래서 내가 자신을 발견하는 장소에 관해 얼마나 폭넓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다양한 위치들의 상관된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조 릉지번(雕陵之樊)에 나오는 숲 주인, 장자, 새, 사마귀, 매미는 각자의 장소에 있고, 이 장소의 연결 고리는 계속 더 이어질 수 있고, 어쩌면 이러한 중첩은 무한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장소의 중첩은 각자 자신만의 장소를 근거로 분쟁을 유발할 수 있다. 바로 이 지점이 장자와 말파스가 비판 받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의 역할은 여기까지이다. 이상의 장자와 말파스의 장소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각자 자신의 장소에 위치하여 세상을 논하고, 그러기에 장소는 존재의 근거가 되고, 장소에 따라 존재가 구별되며, 각각의 장소의 중첩 속에 많은 가치 판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정리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제 이러한 것을 어떻게 적용시켜 우리가 사는 이곳을 보다 나은 세상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문제는 우리 모두에게 과제로 던져졌다.
6,400원
9.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箴銘文’은 유구한 역사를 가진 문체로서 주로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작성되는데 중요한 현실적인 의미를 가진다. 조선시대 주자학이 통치사 상과 핵심적인 사회 가치로 수용되면서 성리학의 ‘持敬’・‘愼獨’・‘修身’ 등 경계하는 뜻을 담던 ‘箴銘’은 널리 유전되었다. 조선전기 문인사대부에 게는 ‘箴銘文’이 문학이기 전에 생활이었다. 이런 사회적인 배경 하에 退 溪 李滉은 조선 성리학을 발전시킨 태두로서 ‘善思’의 정신을 가지고 宋 儒의 ‘箴銘’을 註疏・考證함으로써 文義를 투철하게 분석하였다. 古鏡重 磨方의 편찬 및 「聖學十圖」의 작성을 통해서도 퇴계의 뛰어난 학술적 인 성과를 엿볼 수 있다. 이외, 서예에 조예가 깊은 퇴계는 항상 箴銘을 手書하였고 箴銘을 깊이 체인하여 실제로 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冊板目錄에 의하여 18세기부터 退溪‘箴銘帖’은 본격적으로 간행되었고 「四勿箴」・「大寶箴」・「元朝五箴」・「毋不敬」・「思無邪」・「愼其獨」・「懲忿窒慾」・ 「屏銘」・「箴十帖」・「晦齋所製退溪所書十六詠及元朝五箴」・「思無邪 毋不敬 愼其獨 毋自欺 懲忿窒慾」 등 11종이 開刊되었다. 그중 「元朝五箴」은 17~ 19세기 鎮安・榮川・安東・禮安・慶州 등 많은 기역에 開刊되었고 가장 보편 적으로 간행된 退溪‘箴銘帖’였음으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端嚴謹重’한 글씨는 退溪의 持敬端正한 마음을 보여주었고 ‘箴銘帖’의 刊行은 퇴계의 治學精神 및 學術思想의 傳承으로 볼 수 있다. 또한, 18~19세기 退溪의 ‘箴銘帖’은 ‘端本正源’・‘衛道息邪’의 사회적인 의 미를 가지고 있었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