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類개념에 대한 순자의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묵자, 맹자, 공손룡은 물 론이고 후기 묵가와도 차별화된다. 첫째, 순자는 類개념을 物類와 倫類의 범 주로 구별하고, 그 안에서 倫類의 정당성을 有類와 無類의 구별로 세분화한 다. 둘째, 순자는 類개념을 同類와 異類의 범주로 구별하고, 그 안에서 倫類 의 실천을 不(能)類와 (能)類의 구별로 구체화한다. 셋째, 순자는 同類와 異類 의 범주 구별이 필요한 이유를 사물[事]의 실질[實]과 이름[名]의 관계 그리 고 사물[事]의 실질[實]의 같음[同]과 다름[異]에 근거하여 입론한다. 類개념에 대한 순자의 활용은 以類度類의 유비추리, 統類의 귀납적 일반 화, 類擧의 매거에 의한 귀납추리 등 세 가지 맥락에서 선진 제자 및 후기 묵 가와 차별화된다. 첫째, 類개념의 범주 구별 특히 同類와 異類에 대한 인식 을 근거로 유비추리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둘째, 物類와 倫類, 同 類와 異類그리고 有類와 無類, (能)類와 不(能)類등의 범주 구별과 각 범주에 관한 인식을 근거로 귀납적 일반화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독창적이고 또 이를 인륜의 실천이나 언행 등에 적용한 점에서 실천적이다. 셋째, 소청을 판단 하거나 직무를 수행하는 등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해 가기 위해 서로 같은 부류 [同類]를 사례로 들어 현실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이지만 동시에 제한적이다.
        8,300원
        2.
        2018.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荀子』 중에는 “위”(伪)자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나 주로 후 천적인 인위적임을 가리키며, 선천적인 “성”(性)에 상대적 개념이다. “성 |”은 주로 악하며 “위”는 주로 선하다. 즉 “성”은 선을 향할 수도 있고 악을 향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성”을 따를 때 외려 악에 이르기가 쉽다. “위”의 목적은 바로 “화성”(化性) 즉 성이 되게 하는데에 있다. “성”으로 하여금 선의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심”(心)은 “성”과 “위” 사이의 연결다리로서 자각적인 “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심”의 작용이 매우 크다. 비자각적인 “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주로 외재적 감화, 장려나 징벌 심지어 형법에 있다. “위”의 방법은 주로 “적습”(積習, 습관 쌓기)와 “사법”(師法, 본받음)의 예의에 있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