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은 단계 0의 지각적 관심이 상대적 강도 98%로 가장 높은 정점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활용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영역별 활용도를 분석한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수준(I수준)이 1.69%, 지구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갖고 활용하려는 준비가 되어 있는 수준(II수준)이 17.80%,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반성적 사고없이 교사중심적으로 활용하는 수준(III수준)이 43.97%이었으며, 교육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는 교사수준(IV수준)이 31.86%, 장기적 결과를 생각하며 동료들과 협력하여 더 나은 방안을 탐색하는 수준(V수준)이 4.69%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활용수준은 기계적 활용수준(3단계)으로 나타났고 수업목표 영역(평균 3.28)과 내용 영역(평균 3.28)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성격 및 이념 영역(평균 3.24), 수업자료 영역(3.18), 평가 영역(3.18), 수업방법 영역(평균 3.12)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0∼4년, 15∼19년, 20년 이상, 5∼9년 경력의 교사 집단 순이며 10∼14년 경력의 교사 집단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 제고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미국 텍사스 대학교(Uni.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실행모형(CBAM)에 따라 설문조사하고 그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대상 교사들의 78.51%가 지각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것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성별, 경력별로는 관심 단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지역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창의적 체험활동에 이렇게 관심이 낮은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먼저 지나치게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교육과정 관심의 전반적인 하락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하였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운영에 있어 학교 평가 등을 통한 대한 암묵적 통제, 중등학교 중심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제 등의 원인이 창의적 체험활동 관심 저하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