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회에 있어서나 범죄인은 가장 어둡고 함께할 수 없는 타자(他者)로서 평가된다. 특히 감옥에 수감되어 격리된 수용자에 대하여 ‘밖’의 사람들이 가지는 혐오와 경멸, 그리고 범죄인으로서 받아들이는 ‘낙인과 배제’에 대한 주목은 수용자를 범죄의 유혹과 구렁텅이에서 영원히 헤어나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행형의 본질적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해 우리는 다시한번 반문하게 한다. 즉 처벌과 사회로부터의 격리인가 아니면 사회복귀를 위한 교육인가 하는 사항이다. 만약 수용자를 교화의 가능성이 전혀 불가능한 인간 쓰레기로만 취급한다면 우리사회의 화합과 일치는 영원히 이루어 질 수 없을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군내 수용자에 대한 교정교화 업무도 민간 수용시설의 수용자 못지 않게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더구나 우리군의 경우 군인 개개인은 바로 전투력으로서 전투력의 유지 관리라는 차원에서 볼 때도 어느 한 사람의 군인이라도 소중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군 수용자에 대한 효율적인 교정교화 활동 전개로 수용자들이 석방되면 건전한 차원으로 재복무 및 재사회화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군내 수용자에 대한 교정교화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바람직한 개선대책을 제시함으로써, 군의 전력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uggests improvement of current correctional policy on juvenile delinquents. It argues that recent augmentation of crimes committed by younger juveniles and its aggravation is caused by correctional policy based on punitive execution. For the research, 552 correctional officers from youth detention centers and prison for youth in Kyoung-ggi, Dae-jeon, Cheon-an, and Kim-cheon of 1,550 correctional officers from all the correctional facilities for the youth draw up the self-reports. This illustrates us satisfactions on the facilities and its educational or vocational programs offered. It also shows us how correctional community protects released youth from possible repeated offen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lf-reports, more than half of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current correctional facilities, however many participants point out that correctional facilities must be improved to be more mitigate. Even though there are positive views on the intellectual education, academic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offered in the current correctional system, lots of them believe it needs to offer more practical education that youth can fit into the community more successfully after release. In addition, many people take interests in new treatment system such as group home, foster homes, day treatment and alternative school program which are community treatments performed in America and Australia. However, it needs to examine carefully though. For the future, when these variety system operates successfully, we can forecast that they will reduce crimes of juvenile delinquents and contribute to prevention of possible repeated offe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