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국제 보건간호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일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 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으며, 최종 19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은 일반적 특성 중에 학년 (F=8.18, p<.001), 대학 생활만족도(F=10.16, p<.001), 학점(F=11.3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 고, 국제보건간호역량은 학년(F=4.36, p=.005)과 학점(F=7.4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연구 대상자의 리더십은 국제보건간호역량과 상관관계(r=.65, p<.001)를 보였으며, 간호대학생의 국 제보건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십(β=.67, p<.001)으로 확인되었고, 모형 설명력은 45%였다 (F=16.25, p<.001).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의료환경 안에서 간호대학생이 국제보건간호역량을 갖 추어 간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various aspects of establishing the global standard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HSMS). The notion, main features, and brief history of the OHSMS are presented. The OHSAS 18000, its assets and liabilities, are reviewed as a prototype of the global standard. It is also addressed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ISO 9000(quality management system), 14000(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he OHSMS in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MS) as a whole. The concepts of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are presented to explain why the environment, safety and health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notion of total quality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and 'standardization of the 4Ms (Man, Machine, Materials and Method)'are emphasized as the major enablers of the IMS. Finally, the industrial, academic and governmental roles are discussed for developing the IMS and setting it down into the Korean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