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의 발생이나 화재, 폭발 등의 인재 등으로 인하여 교량이 파괴되거나 노후화 등으로 교량이 기능을 상실한 경우, 기존의 교 통량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하기 위하여 급속으로 시공이 가능한 가설교량이 필요하다. 교통 통제가 장기화되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교통 체증으로 인한 불편함도 증가하게 된다. 기존의 급속시공 교량은 대부분 미리 제작한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 을 이용하고 있고, 신규 교량 건설 수요가 발생하거나 대대적인 교량 보수보강 작업이 필요한 시점에서 모듈을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 립해야 하는 기간을 고려하면 초단기간의 급속시공이 이루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큰 인장강도로 인하여 기존의 인장재에 비하여 구조적 성능이 탁월한 CFRP를 보강재로 사용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급속시공이 가능하면서 경제적인 가설교량 모델을 제시하였고, 기존 H형강 강교량의 CFRP Plate 보강 전후의 내하력을 비교하여 11% 이상의 내하력 증가효과를 확인 하였다.
최근 제안된 탄소감축을 위한 조립 해체가 용이한 접합부는 주기적 하중을 가력하여 시험하였다. 시험체의 거동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Tied Model”(볼트 접촉 면이 묶여 있음)과 “Bolt-slip Model”(접촉 면이 미끄러지고 분리됨)을 사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3D-FE) 해석을 수행하였다. Tied Model은 제안된 접합부가 강 접합(Rigid Joint)으로 거동할 경우 보의 소성 힌지가 발생하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Bolt-slip Model은 제안된 접합부가 적절히 제조(간극 없이) 및 조립된 경우 강성 접합부의 약 0.5배의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그러나 시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모멘트-회전 이력 곡선이 잘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험체의 제조 결함(약 5-10mm 간극)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에서 관찰된 이력곡선의 핀칭 현상과 시험체의 파괴 모드는 서로 일치하였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tegrated precast concrete decks for a rapid constructi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in the integrated precast bridge decks is evaluated by real-scale test bed and detailed finite element analyses.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from a real-scaled single-span precast/prestressed concrete bridge decks under truck loading. Parametric studies are focused on the various effects of external loads on the structural behavior for different locations and measuring points on the precast bridge decks. The assessment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integrated precast bridge decks show an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as expected.
In the military and civil area a long-span temporary bridge for rapid construction is recently in deman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and market is investigated as part of the planning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the existing temporary bridges consist mainly of about 20m long span, and it takes 6 to 8 week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For an emergency restoration project in a short period a long-span temporary bridge for rapid construction requires the high-performance materials and the latest construction technology
기존 고속철도 자갈궤도구간에서는 궤도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안전 위협, 승차감 저하, 유지 및 보수 비용증가, 유지 및 보수 작업으로 인한 열차운행 지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궤도구조 개량공사는 열차차단 시간 내에 공사를 완료하고 공사 후 궤도에 대한 구조적인 안전성도 확보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차차단 시간 내에 궤도 구조를 개량 할 수 있는 급속경화궤도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급속 경화궤도는 일반 자갈도상궤도를 콘크리트 슬래브화 시키는 공법이며 기존의 콘크리트궤도와 상이하게 철근이 사용되지 않고 자갈과 초속경 모르타르로 구성되어있다. 국내 고속철도에서 콘크리트경화궤도의 시공이음부에서 구조적 문제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급속경화궤도 시공 시 발생하는 시공이음매에 대한 보강방안으로 자갈맞물림(Aggregate interlock), Dowel bar, Dowel plate, 지오그리드로 매개 변수화하여 급속경화궤도 시공이음부 보강구조의 성능 검증 실험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급속경화궤도 슬래브 간에 하중전달효율을 분석하고 급속경화궤도 시공에 적합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