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의 선도적인 이차 전지 기업인 CATL을 사례로 하여, 기술 혁신 능력의 발전 과정을 기술 격차, 기술 효율, 기술 축적의 세 가지 핵심 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2011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차 보고서, 언론 보도, 산업 자료 등을 바탕으로, CATL 의 기술 진화 경로를 모방 - 창조적 모방 - 자주 혁신이라는 세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외부 환경과 기술 역량 간의 상호작용을 동적 능 력 이론 틀 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구매자, 공급자, 경쟁자, 정부, 기술이라는 외부 환경 요소와 기술 혁신의 내생적 요인 간 통합 모델을 구성하고, 그 분석을 통해 CATL이 기술 격차 축소, 효율 향상, 기술 축적을 어떻게 실현하였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CATL의 사 례를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 기술 후발 기업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향후 한국을 포함한 타 국가의 유사 산업 및 기업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해서 해외직접투자를 중심으로 한 강소성의 지역기술혁신능력 결정요 인을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기간에 강소성의 기술혁신능력의 향상이 국내 연구개발투자규모, 현지의 경제수준과 금융시장규모 등 내적인 요인에 의존하고 해외직접투자는 모국의 혁신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OFDI변수가 기술혁신능력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강소성의 기술혁신능력 향상과 해외직접투자 활성화 방안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