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전형적인 3가지 유형의 눈 모양 (표준 눈, 작고 외겹 눈, 올라간 눈)에 대해 명암을 변화시킨 5가지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를 시각적 감성언어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눈의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돈 변화(아이 쉐도우의 명암 조절)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들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들의 이미지에 대한 메이크업 전공학생과 전문가 집단의 인식은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메이크업에 대한 테크닉 구사 능력과 식견의 차이뿐만 아니라 세대 차이 등으로 인해 몇몇 일러스트레이션들에 대해서는 뚜렷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자극물을 통하여 느껴지는 다양한 감성언어를 눈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톤 변화에 따라 느끼는 감성반응을 정리한 메이크업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제시하였다. 무 메이 크업, 소프트 스모키, 면적 스모키에 대한 두 집단의 연상이미지는 각각 부드럽고 따뜻한, 부드럽고 정적 도시적, 차갑고 심플한 것으로 동일하게 평가 되었다. 반면에 면적 스모키에 대한 연상이미지는 인공적인 것(전문가 집단)과 선명하고 돋보이는 것(전공학생 집단)으로 다르게 평가되었다. 어두운 톤(dark)의 면적 스모키는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역동적이라는 감성평가가 나왔다. 눈 모양에 따른 메이크업 포지셔닝 맵은 스모키 메이크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추후 다양한 눈 모양에 따른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통하여 이미지 감성을 정량화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머리와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인 종과 민족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으로 눈의 위치는 눈의 일차 건강진단에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한다. 얼굴형태와 눈의 위치는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달라지므로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해부학적 자료가 계측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와질 훤. 안외상. 전선질환이 없는 18~33세 사이의 성인 689 명(남자 325 명, 여자 364 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얼굴형태와 눈의 위치될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계측치를 측정하였 고 각각의 셰측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추적하였으며 성별 및 인종에 따라 계측자료 플 비교 푼석하였다. 한국인의 얼굴형태와 눈의 위치는 성별에 따라 통계화적으로 뚜 렷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눈의 위치는 얼끊형꽤와 서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 고. 다른 인종파 뚜렷한 차이플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얼굴형태와 눈 의 위치에 적합한 안경테 및 안경렌즈 제-죠 등을 위한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