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사복사 구문은 중국어의 다른 구문과는 분명히 다른 통사적 특징을 갖는 구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동사복사 구문의 통사적 특징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동사복사 구문의 정의와 범위를 보다 더 분명히 하고자 한다.<BR> 동사복사 구문은 동사복사 구조가 술어가 되는 구문으로 통사형식은 (S)+V1+O1+V2+C+(O2) 이다. 이러한 통사형식을 갖는 동사복사 구문은 연동 구문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연동 구문과는 달리 동사복사 구문의 V1과 V2가 반드시 동형의 동사이어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문법화 과정이나 정보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O1은 동사복사 구문 생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에 반드시 출현해야 하는 성분이다. V1과 O1은 이합사로 충당될 수도 있다. 그러나 V1과 O1에 위치하는 성분이 동사성이면서 V2와 부분적으로 동형인 경우는 동사복사 구문이라 할 수 없다. C(보어)도 문장에 반드시 출현해야 하는 강제성 성분으로 C가 없는 구문은 동사복사 구문이 아니다. 결과보어, 정태 보어, 정도보어, 시량보어 등이 C가 될 수 있다. 반면에 S와 O2는 비강제성 성분으로 문장에 출현할 수도 있고 출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BR> 동사복사 구문은 확장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즉 O1과 V2 사이에 시간부사나 어기부사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형식의 동사복사 구문은 관련 부사가 있는 긴축문과 유사한 형식을 갖는다. 그러나 긴축문은 복문으로 동사복사 구문이 아니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