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특유의 고유성을 지닌 문자언어의 또 다른 형식이며, 인류 문명사의 중 요한 자산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표음문자 중심의 시각에서는 한자가 전근대적인 문자 로 폄훼되는 경우들이 많았다. 본서는 바로 이러한 인식의 전환의 필요성과 함께, 한자가 가진 형체-의미 간 통합성에 따른 문화적 보고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인식해야 함을 강조 하고 있다. 저자는 이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한자들의 형체와 의미를 분 석하였고, 이 형체-의미 간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위해 방대한 문자·문헌·문화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저자는 또한 한자의 고유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동양의 가치와 위상을 바 로잡을 수 있는 첫걸음이며, 또한 이러한 인식의 확장은 인류 문명사를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4,000원
        2.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힌두교과 불교적 종교와 철학의 양상의 맥락과 결부시켜서 아 잔타석굴을 연구했는데, 이것은 예이츠의 아잔타석굴의 명상적 미술의 상징에 대한 비 금욕적이고 비이원론적인 인식과 동양 무희의 상징성의 인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 다. 이 연구는 새로운 방식으로 그 무희가 구체화하는 동양의 존재의 통일을 예이츠가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 개념은 􋺷환상록 문서􋺸와 􋺷페르 아미 카 실렌시아 루네􋺸(1916년)과 보다 구체적으로 􋺷환상록􋺸(1937년)에서 깊이 탐구된다. 아잔타 석굴의 무희는 “포기의 문” 앞에 머물면서 찬양자들로 하여금 동양적이면서, 역시 보편적인, 존재의 통일을 명상하고 경험하게 유도하는데, 1920년대 중반까지 그 것은 예이츠에게 “명상”적 “선” 행위가 된다. 이때 모든 것은 리듬을 통해서 유일심이 되는데, 이 동양의 무희는 그것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9,200원
        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bers have the physical and spiritual symbols by abstracting and emptying themselves. They develop from the fundamental elements into many animations, personalities, signs, emanations, and at last literary symbols. As a result, the poetical spirit or visions of Yeats in A Vision could be integrated in the numerical symbols of 1, 2, 3, 4, and their muliplications. The fundamental numbers seem to extend their symbolism into other multiplied numbers, especially 28 phases of the moon. Number One in his poetry frequently symbolizes the Causal Body, Origin, and Divine Basis. Number 2 signifies the duality, the harmony of concord and discord, or various opposing elements. Three reveals the uniting/solving process of conflicting duality. It insinuates the figurations of peace or harmony. Number 4 induces the peaceful world of the triangle-like Number 3 into the inner worlds of men. Yeats used to devide the human animations into 4 faculties. Number 4 is the reflection of the division of the Number 2(duality). From the basic numbers, all the poetic combinations can be implicated into the new, novel, personal symbols. His cosmological symbols and numerology in A Vision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Eastern world view and cosmological human nature. Especially, his poetic theory of “Unit of Being” doesn’t show the faculty of Number Zero, nothingness or stillness, or the Eastern emptiness. It rather show the state of fullness, fullness of Western Intellect. To understand how much the numerological conceptions are resolved into his poetry, we have explicated one of his poetry in A Vision.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