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 특징과 라이벌의 심리적 기능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여자 초등학생 축구선수 194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라이벌의 특징과 라이벌의 긍정적/부정적 기능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 특징은 총 268개 원자료가 수집 되었으며, 경기력 수준, 기술, 승부욕 유발 등 14개 하위범주로 분류되었고, 이는 유사한 조건, 탁월한 경기력, 성취목표 대상, 비교 우위, 경험의 각인 등 5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라이벌의 긍정적 기능은 총 318개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승부욕 유발, 플레이 강화, 성장 발판, 지도와 조언, 훈련 도움 등 14개 하위범주와 심리적 원동력, 경기력 향상, 멘토링, 훈련 효율성 증진 등 4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라이벌의 부정적 기능은 총 152개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분노 유발, 플레이 위축, 자존감 손상, 관계 손상 등 12개 하위범주와 시기질투 촉발, 플레이 방해, 심리적 위축, 관계 갈등 등 4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결론: 초등학생 축구선수는 자신과 유사한 조건인데도 불구하고 탁월한 경기력을 기반으로 상대적 우위에 있는 성취목표 대상을 라이벌로 인식한다. 라이벌로 인해 경기력이 향상되고 훈련의 효율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멘토링을 경험하고 심리적으로 동기화된다. 반면, 라이벌로 인해 시기질투가 촉발되고 심리적으로 위축됨과 동시에 플레이에 방해를 받고 라이벌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한다. 본 연구가 라이벌과 라이벌 의식, 라이벌 관계에 관한 심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경쟁선수간의 심리적 상호작용에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