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 심리적 기능 KCI 등재

Psychological Function of Rival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Football Play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 특징과 라이벌의 심리적 기능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여자 초등학생 축구선수 194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라이벌의 특징과 라이벌의 긍정적/부정적 기능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 특징은 총 268개 원자료가 수집 되었으며, 경기력 수준, 기술, 승부욕 유발 등 14개 하위범주로 분류되었고, 이는 유사한 조건, 탁월한 경기력, 성취목표 대상, 비교 우위, 경험의 각인 등 5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라이벌의 긍정적 기능은 총 318개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승부욕 유발, 플레이 강화, 성장 발판, 지도와 조언, 훈련 도움 등 14개 하위범주와 심리적 원동력, 경기력 향상, 멘토링, 훈련 효율성 증진 등 4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라이벌의 부정적 기능은 총 152개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분노 유발, 플레이 위축, 자존감 손상, 관계 손상 등 12개 하위범주와 시기질투 촉발, 플레이 방해, 심리적 위축, 관계 갈등 등 4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결론: 초등학생 축구선수는 자신과 유사한 조건인데도 불구하고 탁월한 경기력을 기반으로 상대적 우위에 있는 성취목표 대상을 라이벌로 인식한다. 라이벌로 인해 경기력이 향상되고 훈련의 효율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멘토링을 경험하고 심리적으로 동기화된다. 반면, 라이벌로 인해 시기질투가 촉발되고 심리적으로 위축됨과 동시에 플레이에 방해를 받고 라이벌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한다. 본 연구가 라이벌과 라이벌 의식, 라이벌 관계에 관한 심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경쟁선수간의 심리적 상호작용에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rival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football players and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rivals. Methods: A total of 194 female football players who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were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We categori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We collected a total of 268 raw data for the characteristics of rival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football players. We classified these into 14 subcategories. such as performance level, skill, and promotion of competition. We categorized these into five categories: similar conditions, excellent performance, achievement target object, comparative advantage, and experience imprint. Second, We collected the positive functions of rivals in a total of 318 raw data. We classified these into 14 sub categories. such as promotion of competition, play enhancement, growth footsteps, guidance and counseling, and training aid. We categorized these into four categories psychological motiv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mentoring, and training efficiency improvement. Third, We collected the negative functions of rivals in a total of 152 raw data. We classified these into 12 sub categories. such as anger inducement, play shrinkage, self-esteem damage, and relationship impairment. These we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jealousy trigger, play disturbance, psychological atrophy, and relationship conflict. Conclusion: An elementary school football player recognizes an achievement target object, based on an excellent performance, in relative superiority to a rival even though the condition is similar to her own. The rivals improve competitiveness, increase training effectiveness, experience mentoring, and become psychologically synchronized. On the other hand, the rivalry triggers jealousy if the rivals are psychologically depressed at the same time. It interferes with play, and the rivals experience conflict with each other.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rivals, rivals' consciousness, and rival relationships, and that it will stimulate an interest in psychological interactions among competitor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자료제공자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 특징
  2.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긍정적 기능
  3. 초등학생 축구선수가 인식한 라이벌의부정적 기능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전재연(한국체육대학교) | Jae-Youn Je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윤영길(한국체육대학교) | Young-Kil Yu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김현주(한국체육대학교) | Hyeon-Ju Kim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