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점톨물방개속(Hydrovatus Motschulsky)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종이 발견되었으며, 노랑점톨물방개(H. acuminatus Motschulsky)를 국내에서 처음 보고한다. 본 속의 각 2종에 대한 성충의 외형 사진 및 식별 형질과 검색표를 제시한다.
한국산 깨알물방개속(Laccophilus Leach)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한국에서 기록된 5종 중에서 L. hyalinus (De Geer), L. lewisius Sharp (줄깨알물방개), L. minutus (Linné) (대륙깨알물방개)는 각각 L. vagelineatus Zimmermann (얼룩깨알물방개), L. lewisioides Brancucci (줄무늬깨알물방개)(신칭) and L. difficilis Sharp (깨알물방개)의 오동정이다. 각 종에 대한 외형 사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검색표 및 식별형질을 제시한다.
수서곤충들 중 물방개와 물땡땡이의 체외 분비물과 생체 추출물들의 생리활성에 관한 in vitro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료는 물방개의 앞가슴샘에서 분비되는 유백색 액체를 여지에 흡습시켜 아세톤으로 추출한 추출물(추출물 1), 물방개 배끝에서 분비되는 물질의 추출물(추출물 2), 물방개 성충을 100% 에탄올에 침출시켜 획득한 에탄올추출물(추출물 3), 물방개 성충을 마쇄 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추출물 4) 및 물땡땡이 성충을 에탄올에 침출하여 준비한 에탄올추출물(추출물 5) 그리고 물땡땡이 성충을 마쇄 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추출물 6) 등 6종이 준비되었다. 각 추출물들의 수율은 2.5% (추출물 1), 2.04% (추출물 2), 1.93% (추출물 3), 1.05% (추출물 4), 3.34% (추출물 5), 1.21% (추출물 6) 등이었다. 준비한 각 추출물들의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MIC 기반 항균활성에 있어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perfrigens,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추출물 3과 추출물 4에 비해 추출물 5와 추출물 6이 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냈으나 이들 후자 2종 추출물은 대조물질인 ciprofloxacin에 비해서는 낮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또한 DPPH 기반 활성산소제거능 효과 검증에서도 추출물 2를 제외한 나머지 5종 추출물들은 항산화력을 갖고 있었으나 대조구인 비타민 C (ascorbic acid)에 비해 낮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물방개 및 물땡땡이 성충 추출물들이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갖고 있음을 암시한다.
국내 애완곤충 시장의 발달과 더불어 수서곤충류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 어, 본 연구는 수서곤충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지도를 알아보고 대상곤충의 서식 특성과 실내사육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도시(서울, 부산, 광주) 지역의 대학 생 131명을 대상으로 수서곤충들에 대한 인지도 지수들(선호성, 희귀성, 환경적 중 요성, 교육 및 연구용으로의 활용가치, 시장성, 산업적 활용성)에 대한 조사에서 물 방개(Cybister japonicus Sharp)가 평균적으로 높은 지수를 보였다. 물방개류는 달 뿌리풀이나 나도겨풀 등이 우점하고 있는 둠벙이나 계곡형 저수지에서 성충들이 월동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이러한 식생 주변에 새우, 물고기 알이나 치어, 유 기물 등의 먹이가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방개류 실내 사육 시 수온이 25℃일 때 산란율이 가장 높았고, 28℃이상에서는 산란을 하지 않 았으며 교미행동도 4회 이상 이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검정물방개는 난 기 약 7일, 1령충 약 4일, 2령충 약 15일, 3령충 약 32일로 용기 및 성충기를 제외하 고 60여일 전후의 생활사를 보였다. 물방개 2-3령 충은 갈색거저리 유충과 붕어치 어를 장구벌레나 깔따구 유충 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검정물방개 1-3 령 충은 장구벌레를 가장 선호하였고 갈색거저리 유충이나 붕어치어 등은 덜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방개류 성충은 제공된 인공사료들 중 멸치분말을 함유한 사료에 가장 강한 선호행동을 보였다. 현재 검정물방개 유충의 생먹이들에 대한 먹 이 선호도를 조사 중이다.
물방개과에 속하는 두 종-Hyphydrus falkenstromi Gschwendtner (제주알물방개)와 Sandracottus mixtus (Blanchard)(호랑물방개)-을 국내에서 처음 보고한다. 이미 기록되었던 Hydaticus pacificus Aube는 S. mixtus (Blanchard)의 오동정이다. 두 종에 대한 성충의 사진, 재기재문 및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을 함께 제시한다.
In these days, researches about underwater robots have been actively in progress for the purposes of ocean detection and resource exploration. Unlike general underwater robots such as ROV(Remotely Operated Vehicle) and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hich have propellers, an articulated underwater robot which is called Crabster has been being developed in KORDI(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with many cooperation organizations since 2010. The robot is expected to be able to walk and swim under the sea with its legs. Among many researching fields of this project, we are focusing on a swimming section. In order to find effective swimming locomotion for the robot, we approached this subject in terms of Biomimetics. As a model of optimized swimming organism in nature, diving beetles were chosen. In the paper, swimming motions of diving beetles were analyzed in viewpoint of robotics for applying them into the swimming motion of the robot. After modeling the kinematics of diving beetle through robotics engineering technique, we obtained swimming patterns of the one of living diving beetles, and then compared them with calculated optimal swimming patterns of a robot leg. As the first trial to compare the locomotion data of legs of the diving beetle with a robot leg, we have sorted two representative swimming patterns such as forwarding and turning. Experimental environment has been set up to get the motion data of diving beetles. The experimental equipment consists of a transparent aquarium and a high speed camera. Various swimming motions of diving beetles were recorded with the camera. After classifying swimming patterns of the diving beetle, we can get angular data of each joint on hind legs by image processing software, Image J. The data were applied to an optimized algorithm for swimming of a robot leg which was designed by robotics engineering technique. Through this procedure, simulated results which show trajectories of a robot leg were compared with trajectories of a leg of a diving beetle in desired directions. As a result, we confirmed considerable similarity in the result of trajectory and joint angles compa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