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paroscopic ovum pick-up (LOPU) is a convenient method for collecting oocytes in small ruminants. LOPU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less invasive means of oocyte collection, thereby allowing for a repeated usage of the oocyte donor animals. A total of 25 Korean black goats were used in the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and LOPU was applied to the goats which had been treated for superovulation more than two times during the last twelve months. Estrus was synchronized with an intravaginal insert containing 0.3 g progesterone for 10 to 12 days. Ovaries were hyperstimulated with eCG 1,000 IU oneshot, FSH with eCG (50 mg / 1,000 IU; 70 mg / 500 IU; 70 mg / 1,000 IU) oneshot or FSH multiple-shot with eCG oneshot (20 mg × 6 / 300 IU) given intramuscularly 72 h prior to LOPU. For these groups, the number of follicles (mean ± SEM) observed which developed to larger than 2 mm in diameter were 1.6 ± 2.5, 4.3 ± 3.1, 5.5 ± 4.2, 6.6 ± 2.1 and 8.8 ± 7.8, respectively. Oocytes were aspirated by using OPU needles and a vacuum pump. The overall oocyte retrieval rates were 41.4%.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w/v) bovine serum albumin + 10 μg/ml FSH + 1 μg/ml 17β-estradiol for 27 h at 39℃ in 5% CO2 in air. Oocytes were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by ionomycin combined with 6-diethylaminopurine (6- DMAP). Total oocyte maturation and cleavage rate were 67.3% and 78.8%, respectively. In summary, LOPU is a useful oocyte collection method in Korean black goats that can provide immature oocytes for transgenesis or nuclear transfer.
        4,000원
        2.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서적 내용이 포함된 이야기의 반복적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 만 5세반 2개 학급의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이야기의 반복적 경험을 하였으며, 실험처치는 9주동안 1주에 8회씩 총 72회 실시하였다. 이야기의 반복적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도구로 검사한 집단 간 사전 점수와 사후 검사의 증가분을 t검증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모든 정서지능 하위요소인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야기의 반복적 경험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