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ptember 2014 and March 2015 at the three sites (PD-1, PD-2 and PD-3) of Lake Paldang.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PD-2 than at PD-1 and PD-3. TSI (TN) values at the three field sites were in the range of 65~85, which were the level of eutrophic or hypereutrophic state. TSI (TP) also showed high values (49~68), which were the level of mesotrophic or eutrophic state. Akinete germination potential was higher at PD-2 with increased nutrient (nitrogen and phosphorus), and algal growth potential also increased with nutrient enrichment.
        4,000원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슬러지퇴비의 제조과정에서 2, 6, 8, 12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이 몇 가지 식물의 종자 발아율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시료 중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퇴비화 6주째까지는 그 함량이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은 퇴비 화가 진행될수록 전반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는 감소하다가 퇴비화 후반부에서는 중성 부근을 나타내었으며 EC는 6주째에는 증가하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점차 그 함량이 증가하다가 퇴비화 12주째에는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변화는 총질소의 변화와 같은 양상이었으며 암모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와의 비율은 8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12주째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이온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비화 초기 단계보다 퇴비화 후반부에서 모든 양이온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pH 6.48정도를 나타내었으며 EC는 퇴비화 2주째는 3.43dS·m-1에서 12주째 1.72dS·m-1로 낮게 나타났다. 배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상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비해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퇴비화 과정 중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콩과 보리 종자의 발아시험 결과 콩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극히 미약했다. 반면 보리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 작용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퇴비화 2주, 6주, 8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퇴비의 수용성 추출액의 저해작용은 식물의 종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종자 발아와 뿌리 생육에 대한 저해는 퇴비의 부숙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부숙 초기 퇴비의 수용성 물 추출액이 종자 발아와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크게 나타났으며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sole, mixture heavy metals and soil samples was assessed based on the seed (Lactuca sativa L.) germination. In general, tested sole metals were showed considerable sensitivity on the germination, showing following EC50s: As(III) 1.02 mg/L, Cr(VI) 1.33 mg/L, Cu 2.26 mg/L, Cd 2.61 mg/L, As(V) 3.00 mg/L. Though obvious patterns were not observed on the effects by binary mixture metal, generally more synergistic mode was observed rather than antagonistic or additi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xicity and total metal contents was observed, but two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contaminated arsenic concentration,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teractive effects of metals may vary depending on the bioassays used as well as on the mixture metals and their respective concentrations. Therefore, more detailed evaluation, such as with battery of assays, sample grouping and various mixtures, may comprise a useful tool for th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samples with mixture contaminants.
        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재배의 증가, 화학비료의 연용 및 기상이변의 발생은 재배지역의 감소와 작물의 안정적 생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시험은 고염류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한 콩 품종의 간이 선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NaCl 농도하에서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 중, 장류두부용(대원콩, 대풍콩, 새올콩, 태광콩), 나물용(소명콩, 소원콩, 풍산나물콩) 및 밥밑용(일품검정콩) 등 8개 품종의 발아양상을 조사하였다. NaCl을 5개 (0, 50, 100, 200 및 500mM) 수준으로 하여 Petri-dish에 각 품종당 20개의 종자를 치상한 후, 25℃ 암조건에서 7일간 처리하였다. 처리 후 종자의 발아율과 근장을 측정하여 염 저항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장류두부용 콩 품종의 경우, NaCl 50mM 이하에서는 발아와 뿌리생장이 이루어졌지만, 100mM 이상의 농도에서는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나물용 콩 품종의 평균발아율은 NaCl 50mM(78%), 100mM(74%) 및 200mM(50%)로 나타났으며, 밥밑용 콩(일품검정)의 발아율은 NaCl 50mM(63%), 100mM(43%) 및 200mM(33%)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나물용 콩 품종이 고염류(NaCl)에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