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of existing tunnel drainage system to prevent pavement crack, floating, rising due to tunnel seepage water at the time of heavy rains. First, we derive the main cause through case studies of poor drainage, such as pavement damage due to tunnel seepage water at the time of heavy rains, poor drainage in the changing sections of superelevation, and pipe clogging due to calcification. On this basis, we suggested four drainage improvement systems depending on the range of watering and its urgency, as follows: Drain hole drilling and installation of induced ditch, Pipe installation connected to collecting well, Installation of block out on the side of collecting well and filter layer, Installation of holes for maintaining dummy ditch. In conclusion, through such improvements suggested above, we expect that we will be able to effectively prevent pavement damage due to tunnel seepage water. Consequentially, it will also contribute improving the safety of vehicles in the expressway.
1968년 국내에 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44년 동안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는 터널은 709개소, 539,046m로 친환경 고속도로 건설추세에 맞추어 관리할 터널은 지속적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이런 공용중 터널들은 설계기준에 맞게 시공하여도 지형조건, 기타 제반여건 등이 상이하여 집중호우시 터널내 용출수 과다로 포장균열, 들뜸 및 솟음현상이 발생하여 공용중인 차량의 안전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공용중인 터널내 배수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다각적인 배수처리방안을 수립 하고자 한다.
도시지역에의 내수침수는 주로 우수관로 배수체계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도시침수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우수관로해석에 국한되어왔다. 하지만 우수관로시스템 해석을 통해서 배수능이 부족한 관거를 찾는 것만으로 침수방지대책을 세우는 것은 매우 근사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양상에 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를 도출하기 위하여 ILLUDAS를 이용한 관로시스템 해석과 2차원 지표류 계산모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