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닭 사체를 이용하여 장소, 기온, 습도별 시식성 곤충상을 파악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전민동 일대의 3개의 장소 를 선택하여 닭 사체별로 유인되는 곤충의 종류와 군집 상의 차이와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닭 사체에 유인되는 곤충을 주기적으로 채집하고 해당 일자의 온도와 습도를 조사하여 기록했으며, 채집한 곤충들은 외부 형태적 특징으로 분류하고 개체수를 확인했다. 조사결과,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의 개체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바퀴목, 벌목, 노린재목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곤충들이 유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법곤충 시식성 곤충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결과를 종합정리하였다.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dible insects have gained recognition worldwide as complementary protein sources. Recently, four edible insects were newly allowed to be used as food materials in Korea: the mealworm (Tenebrio molitor), the cricket (Velarifictorus asperses), the white-spotted flower chaffer beetle larva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nd the rhinoceros beetle larva (Allomyrina dichotom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these four edible insects during cold storage. The insects were sacrificed by blanching for 3 minutes in boiling water. The blanched insects were then stored at 4℃ in an incubator for 42 days. The color values, titratable acidity, peroxide values, acid values, TBARS, contents of VBN, and total plate counts of the insects were measured at days 0, 2, 4, 7, 10, 14, 21, 28, 35, and 42, respectively. Blanching decreases oxidative stresses during storage. At day 0, the white-spotted flower chaffer beetle larva showed the highest values for acid value, TBARS, VBN, and microbial counts. Most of the oxidative indicators were significantly changed at day 14 in all four insects, possibly related with the growth on all microbial plates. Based on microbial safety and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lipids and proteins, optimal storage conditions for the cricket, the white-spotted flower chaffer beetle larva, and the rhinoceros beetle larva were 10~14 days at 4℃. Likewise, the mealworm showed rapid oxidation after day 14, but poor qualities were not observed until day 28.
        4,200원
        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곤충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우리나라의 법과 제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외 법과 제도 및 국제동향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대상인 산업곤충의 대부분은 외래종에 해당한다. 특히 이들 외래종의 일부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침입 외래종(Invasive Alien Species, IAS) 일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협하고 농업・임업・어업과 인간의 경제활동에까지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과 국제식물보호협약(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을 포함하는 국제협약에서는 침입 외래종 도입을 사전에 방지하고, 이미 도입된 침입 외래종의 퇴치 및 방제를 강조하고 있다. 미국, 호주 등의 선진국은 침입 외래종의 도입과 방제를 위하여 정부차원의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관련 부처간의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침입 외래종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여러 법과 정부 부처에서 외래종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럼에도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 및 이로 인한 외래곤충의 산업적 이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생태계 교란 가능성을 방제할 수 있는 국내의 법과 제도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산업곤충 위해성 평가 및 외래종 관련 여러 법과 제도는 곤충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신청인(또는 기업)이 해당 곤충을 국내의 새로운 서식지로 도입하고, 방출하여 산업적인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절차 및 위해성 평가방법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을 새로운 서식지에 도입하고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국내 관련 법・제도를 검토하였으며, 이에 대한 선진국의 위해성 평가 체계와 비교・분석하였고, 국내 산업곤충 위해성 평가 및 관리와 산업적 활용을 위한 법・제도를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