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불교와 영화라는 서로 다른 두 분야가 만난 것인 만큼, 불교계와 영화계가 ‘불교와 영화의 만남’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다. 영화계가 보는 영화와 불 교의 만남은 장르 관심이고, 불교계가 보는 불교와 영화의 만남은 포교 관심 이다. 하지만 불교계와 영화계가 바라보는‘불교와 영화의 만남’이 이렇게 다르더라도 불교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한 불교와 영화가 어떻게 만나는지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동안 불교영화를 정의하면서‘불교 소재의 영화’부터‘불교 주제의 영 화’는 물론‘불교적으로 해석되는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로 논의 해 왔다. 이 글에서는 불교영화로 널리 알려진 몇 가지 영화를 대상으로 불 교 소재와 주제 측면에서 불교와 영화가 만나는 경우를 논의하고, 최종적으 로 불교영화는 불교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불교적 비평 이론의 한 예를 제시해 보았다. 불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영화가 불교영화라는 시각은 그동안 불교 소 재나 주제에 바탕을 둔 불교영화가 뜻밖에 불교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 하고 있다는 비판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는 불교 소재나 주제를 다루면서 불교 가치를 구현하는 불교영화를 지지하기 때문에, 비평 이론을 통해 불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불교적 영화’를 제시하는 이 글의 시각은 기존의 불교영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제3의 시 각을 추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시각이 필요한 또 한 가지 이유는 불교영화가 대중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불교 소재와 주제가 전면에 드러난‘불교 영화’보다는 불교 소재와 주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불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불교적 영화’가, 종교영화의 틀을 넘어 일반영화로서 대중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6,700원
        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화와 불교의 만남이란 주제는 광의로 영화와 사상의 만남이라는 인문학 적 성찰로 답해야 한다. 그것은 불교영화라는 틀이 좁아지지 않고, 적극적이 며 개방적인 자세로 넓어지는 것과 일치한다. 영화와 불교의 주제가 영화와 사상의 주제로 넓어질 때 영화는 종교, 사상, 신화, 문화 전반에 걸쳐 확대된 다. 불교영화가 기여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그 이미지가 불교적 교리를 은유 화한다는 점이다. 영화적 이미지는 불교의 유식사상(唯識思想)을 근거로 한 다. 유식사상에 의하면 인간의 궁극적 깨달음은 제 팔식(八識)의 깨달음에 있 다고 본다. 영화가 기반하고 있는 세계는 육근(六根)의 작용에 의한 육식(六 識)의 단계 중 안식(眼識)과 이식(耳識), 의식(意識)과 제7식 말나식의 단계에 서 작용한다고 본다. 하지만 마지막 단계인 제8식 아뢰야식으로 나아가기 위 한 영화는 그 안에서 각자 모색되고 있다고 봐야 한다. 한국영화 속에 흐르는 사상적 특징은 유교, 불교, 도교 및 샤머니즘의 구원 관이 종합화된 모습을 보인다. 그것은 일종의 혼종문화적이며 통합문화적 성 격(syncretism)을 띤다고 볼 수 있다. 서양영화에 보이는 신화적 세계는 곧 종교적 세계와 통하고 종교는 평등하다는 점에서, 기독교 사상으로만 이해할 게 아니라, 석가모니의 사상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원초적인 신화영웅 영화 들이 많다. 영웅과 적대자의 갈등의 드라마는 그대로 불교의 불이사상이다. 스마트 정보화시대가 가속화될수록 인간 내면의 성숙에 대한 요구는 더욱 치 열해진다. 영화는 일상의 모든 현상을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철학적, 정치적, 문화적으로 소비한다. 정보화 시대에 영화는 어쩌면 그 중심에 놓여 있다고 봐 야 한다. 요즘 인문학이 다시 부활하고 있다. 영화는 인문학의 학제 간 융합적 인 측면을 가장 잘 견지해 온 매체라는 특별함이 있다. 영화가 담고 있는 불교 사상은 정보화 시대에 그대로 담겨 이동한다고 보면 된다. 정보화와 영화가 두 개가 아니듯, 정보화와 불교도 두 개는 아닌 것이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