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제정된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이하 等级标准)은 등급별·기능 중 심의 문법 교육 체계를 제시하고 있으나, 한국인 학습자의 실제 오류 양상과 문법 항목 기술 방식 간에는 상당한 불일치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의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等级标准(初等)의 문법 항목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 고,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적용(critical appl ication)’ 접근법을 채택하여 2000년 이후 국내 문법 오류 관련 선행연구 50편을 분석 하고, 鄧守信(2009)의 ‘기능–구조–용법’ 삼차원 분석 틀을 적용하였다. 오류 빈도가 높은 把자문, 부사류(都, 就, 还), 개사류(在, 向, 对 등)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等 级标准(初等)의 문법 항목 기술 방식과 한국인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 간에 는 구조적·용법적 측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형식 중심의 간략한 예문 제 시는 학습자의 실제 언어적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 는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반영한 비판적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구체적 보완 방향을 모색하였다. 향후 한국인을 위한 표준 중국어교육 요목 설계 및 교육과정 설 계, 평가 등 실질적으로 중국어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tegrated with simulation educa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proc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are 47 senior nursing students. We developed the simulation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taking 2 hours per session, once per week for 15 week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imulation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proc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variables.
Conclusion: Therefore, suggest that the repeated studies to ver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본 연구는 탐구학습과 과정중심 쓰기 통합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널리 활용되어 온 기존의 읽기 지도 모형들은 쓰기 과정과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읽기 지도 모형 중 가장 학습자 중심의 읽기 교수·학습 모형이며, 읽기 과정과 쓰기 과정을 통합한 모형인 ‘Neo-SQ3R’ 모형을 적용하여, 실험반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학생 소감문을 통해 모형 투입 전후의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에 대한 학습자 체감 정도를 검증하였다. 모형 투입 전·후 텍스트 재구성 여부 및 창의적 재구성 여부를 통해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 신장 정도를 검증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학습과 과정중심쓰기 모형을 적용한 문학 수업을 통해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이 신장되었다. 둘째, 읽기와 쓰기 과정을 통합한 교수․학습을 통해 총체적 국어사용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읽기 교수․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독자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