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화단용 국화의 식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에 개발된 식생매트에 삽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매트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8가지 처리 조건의 매트에 Dendranthema grandiflorum 'Ford'를 삽목하고 난 후 50일 후 생육을 조사한 결과, 매트 내 뿌리 분포는 10mm 두께의 중간에 배양토를 삽입한 coir net(C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도 각각 29cm, 5.6g으로 동일 조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뿌리가 형성된 매트를 포장에 정식 40일 후 초장은 12mm 두께의 중간에 배양토를 삽입한 Jute net가 가장 좋았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C 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매트 내 뿌리 형성과 정식 후 삽수 길이별 생육은 길이 5cm인 삽수가 3과 8cm인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
        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 All (ScA)과 포천(ScP) 계통, S.glaseri NC (SgN)와 동래(SgD)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1 계통(HbN)이 당근뿌리혹선충 (Meloidogyne hapla)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마토를 이용한 pot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5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이 있는 100g 토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2.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cA처리에서 9.4-36.5개, SgN처리에서 5.7-24.7개, HbN처리에서 11.2-16.0개로서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에서의 62.5개보다 난낭수가 매우 적었다. Steinernema선충을 100㎤당 100마리, 20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해 2,020마리/토양 350g와 1.6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teinernema 선충의 종간, 계통별 또는 처리농도 간에는 난낭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와 비교하면 난낭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을 당근뿌리혹선충 처리 3일 전에 처리한 것이 3일 후에 처리한 것보다 난낭 형성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마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4,000원
        5.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ming, manure application, and inoculation with Rhizobium on the early growth, nodulation, seedling establishment, winter survival, and forage yield and quality of alfalfa(Medicago sativa L.)
        4,000원
        6.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ection rate of soybean black root rot disease caused by Calonectria crotalariae was about . The isolated fungi from the infected soybean roots and stems were Calonectria crotalariae, Fusarium solani, F. roseum, Phomopsis sojae, Pythium aphanidermatum, Rhizoctonia solani and Macrophomina sp. Among them, C. crotalariae was the most virulent pathogen under the laboratory conditions. Mycelial growth and microsclerotial formation were good on PSA containing 1000cc of water, 100g of potato and 20g of sugar. Mycelial growth, sporulation and microsclerotial formation were good on sterilized root. Perithecial formation was better in the dark condition than in the light. Survival of macroconidia was not available between soil water content. Microsclerotia and mycelium in infected plant debris were survived for 4 months at to soil water content. The plant height, when inoculated with inoculum density, reached approximately half of uninoculated plants. Disease severity was much higher at nonsterilized soil than completely sterilized soil. It was determined that the host range of this pathogen includes soybean, peanut, green bean and red bean.
        4,000원
        9.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에서 돌연변이를 효율적으로 유기시킬 수 있는 적정 EMS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황금콩, 장엽콩, 검정콩 001에 30, 50, 70mM EMS세 수준으로 처리 한 다음 M1 종자의 포장발아율과 M2 세대의 돌연변이체 출현빈도율을 조사하였으며 다량 뿌리혹형성 변이체 선발을 위하여 신팔달콩002 종자 약 18,000립에 30mM EMS를 처리하여 M2 세대에서 선발하고, 선발된 변이체의 뿌리혹 형성능력을 미국 초다뿌리혹형성 nts계통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1 종자의 포장출현율은 검정콩 001가 황금콩과 장엽콩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세 품종 모두 EMS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장출현율이 낮았다. 2. M2 세대에서 돌연변이개체는 엽록소 결핍개체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는데, 그외에도 생장점괴사, 엽이상, 엽수변이체, 단경 등 다양한 변이양상을 보였다. 3. 30mM EMS처리가 포장발아율도 높고, 돌연변이개체 출현율도 50, 70mM에 비하여 양호한 편으로 판단되었다. 4. 신팔달콩 002로부터 30mM EMS처리에 의하여 M2 세대에서 뿌리혹 형성 nts계통보다도 많은 뿌리혹이 형성되었으며, 뿌리혹형성도 일찍 시작되었다.
        10.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팔파 방목형 품종 Victoria와 건초형 품종 Vernal을 공시하여 실산태 새소 농도 0,2,4,8, 12mM의 다섯 수준으로 급여하여 파종 6주후 초기 생육시기에 지상부 부위별과 뿌리혹 건물증, 엽중 질산태 질소 환원 능력 및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NO3  ̄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나 NO(NO3 )  ̄ 의 8mM과 12mM간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품종 모두 8mM 이상의 NO3  ̄ 수준에서 뿌리혹 착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3. 엽 생체중당 nitrate reductase 활성은 NO3  ̄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나 4mM이상에서는 차이가 크지 않았다. 4. 엽중 질산태 질소축적은NO3  ̄ 의 12mM 처리시 크게 증가하였다.
        11.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 근류착생성 콩 nts 382 및 nts 246와 wild-type인 Bragg의 초기생육, 뿌리혹 형성 및 질소고정능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nts 계통은 뿌리혹건물중이 현저히 높아서 파종후 31일째에는 Bragg에 비하여 2.5내지 3.5배에 달하였다. 2. nts 계통은 과도한 뿌리혹 형성 때문에 지상부 광합성산물을 많이 소모하여 지상부의 생육이 저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