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3.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상어과는 톱상어목에 속하며 지금까지 2속 8종이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톱상어과 어류는 톱상어 1종으로 알려져 있다. 톱상어과는 주둥이 양쪽에 작고 큰 이빨이 나있으며 납작하 고 긴 것이 특징이다. 톱상어의 집단구조를 알기 위해서 4개의 지역(한국, 개체수=6; 미야기현, 개체수=1; 고치현, 개체수=1; 오키나와, 개체수=8)에서 채집된 16개체를 대상으로 형태와 분자분 석을 실시하였다. 형태분석결과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중 톱상어 A 유형은 한국과 일본에 서식하며 짧은 주둥이(전장의 26.8%), 폭넓은 주둥이(주둥이 길이는 주둥이 폭의 4.5배)를 가 지며, 톱상어 모식표본과 유사한 점에서 톱상어(Pristiophorus japonicus)로 추정된다. 톱상어 B 유 형은 오키나와에 서식하며 긴 주둥이(전장의 31.7%), 폭넓은 주둥이(5.2배)를 가져 Pristiophorus sp. 1로 제안한다. 톱상어 C 유형은 오키나와에 서식하며 긴 주둥이(전장의 31.7%), 폭좁은 주둥이 (6.3배)를 가져 Pristiophorus sp. 2로 제안한다. 나아가 톱상어 A 유형과 C 유형의 mtDNA cytb 영역을 비교한 결과 2.1~2.7% 차이를 보여 형태결과를 지지해 주었다. 향후 Pristiophorus sp. 1 및 Pristiophorus sp. 2의 분류학적 위치를 구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about the behavior of sharks by underwater audible soun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tiger shark Scyliorhinus torazame which was caught in the coast of Jeju Island by heart rate conditioning method using pure tones coupled with a delayed electric shock. The audible range of tiger shark extended from 80Hz to 300Hz with a peak sensitivity at 80Hz including less sensitivity at 300Hz. The mean auditory thresholds of tiger shark at the frequencies of 80Hz, 100Hz, 200Hz and 300Hz were 90dB, 103dB, 94dB and 115dB, respectively. The positive response of tiger shark was not evident after the sound projection of over 300Hz. At the results, the sensitive frequency range of tiger shark is narrower than that of fish that has swim bladder.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st sensitive frequency in auditory thresholds of Chondrichthyes is lower than that of Osteichthyes. Critical ratios of tiger shark measured in the presence of masking noise in the spectrum level range of about 60-70dB (0dB re 1μPa/Hz) increased from minimum 27dB to maximum 39dB at test frequencies of 80-200Hz. The noise spectrum level at the start of masking was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bout 65dB within 80-200Hz.
        4,000원
        6.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ata collected by on-board observers and from experimental surveys during 2004-2006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status of shark bycatch in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Results obtained from 10 surveys indicated that 14, 13 and 1 species of shark were incidentally caught in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operated in the Pacific, Indian and Atlantic (Mediterranean) Ocean, respectively, and that shark bycatch accounted for about 29-31% of the total catch. Sharks brought aboard were processed in 3 ways; out of 1,127 sharks observed, 575 sharks (51.0%) were discarded after finning, 299 sharks (26.5%) were stored frozen after finning for future use and 253 sharks (22.4%) were released into the sea immediately after caught. The fin to body weight ratio of sharks was estimated to be about 4.7% which is similar to the guideline of 5%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fisheries organizations. The underestimate of shark bycatch in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was significant because it was general practice that fishermen on-board did not count the discarded shark as a catch.
        4,000원
        7.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광에 대한 두툽상어 Scyliorhinus torazame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대체로 W자형이 되었다. 2. 양색광원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10.19%(0.17~25.75%)였고, 주간(6.72%)보다 야간(13.66%)에 더 컸다. 3. 두툽상어가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황색, 백색, 청색, 적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적색, 청색, 백색, 황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적었으며 비교적 안정하게 변동했는데 주간에 더 안정되었다. 5. 두 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조명시간에 관계없이 대체로 뚜렷했는데 주간보다 야간에 더 차가 심했다
        4,000원
        8.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산 (citric acid) 가용성 콜라겐 (ASC)과 pepsin 가용성 콜라겐 (PSC)의 추출 및 탈색조건을 조사하였다. 비 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정 NaOH 농도는 0.3 N이었으며 처리시간은 9시간이었다. 상어껍질의 탈색은 생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0.48% sodium hypochlorite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ASC 및 PSC의 추출시 산의 적정농도는 각각 0.3 M 및
        9.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어 collagens(SC)(ASSC: 산가용성 껍질 collagen, ASMC: 산가용성 육 collagen, PSSC: pepsin 가용성 껍질 collagen, PSMC: pepsin 가용성 육 collagen)의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stase 저해활성을 표품(시판 marine collagen)과 비교하였다. SC()의 전자공여능은 로 표품의 에 비하여 배가 높았다. SC()의 SOD활성은 4.67로 STMC
        10.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양식어종으로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철갑상어의 영양성분 분석과 중간수분식품 개발을 위해 건조시 온도와 당 및 염 침지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철갑상어의 일반성분은 수분 73.2%, 단백질 19.9%, 지방 5.7%, 회분 1.1% 및 가용성 무질소물 0.1%였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 P 및 Mg 으로 그 함량은 각각 317.70 mg/100 g, 259.88 mg/100 g 및 29.78 mg/100 g 순이었다.
        11.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 영천 특산물인 상어 '돔배기'의 고품질화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영천에서 '돔배기'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귀상어 및 청새리상어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새리상어육의 수분 함량이 귀상어육보다 낮은 대신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다소 높았으나 건물중으로 환산하면 큰 차이가 없었다. 상어육의 주된 아미노산은 leucine(715.47 mg%), lysine (589.62 mg%), arginin
        12.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상어 정소는 세관형이며, 각 정소 세관은 여러 개의 정소 소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낭 내의 생식 세포들은 동일한 발달 단계를 보였다. 정자형성과정 동안 소낭 세포에서는 잘 발달된 조면 소포체와 골지체가 관찰되었다. 소낭세포의 분비활성은 후기 정자변태시기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포 내의 정자결합물질은 정소 소낭 세포에서 분비되며, 하나의 정소 소낭에서는 하나의 정포가 만들어진다. 체외로 방출된 정포에서 피막구조는 관찰할 수 없었다. 투과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