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친자연적인 공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로 자연생태계 현황, 과도한 이용과 공원시설물 조성에 따른 훼손 및 주변생태계의 영향 등 환경생태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하여 친자연적인 공원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 공원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황 조사, 분석, 생태적 평가, 공원관리계획 수립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적 개황, 자연환경, 자연생태 등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생태적 평가에서는 조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식물생태계를 유형화한 비오톱유형, 야생동물 서식처, 자연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리계획 수립에서는 친자연적인 공원관리를 제안하고자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양호한 생태계 및자연경관 보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생태계 및 자연경관 보존계획에서는 생태계 및 자연경관보존지역, 생태계 보호지역, 생태계 복원지역(이용가능)을 지정하였고, 훼손지 복원 및 복구계획에서는 훼손된 숲생태계 유형에 따라 식생복원 목표로 제안하였다.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for natural vegetation restoration and management by ecological approach. The concept of biotope planting technique was introduced in order to restore the natural veget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Mt. Nam in Seoul,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was surveyed so as to obtain the basic data. This study focused on the vegetational context between northern part of Mt. Nam and develop-reserved site. The results are following ; 1. It is suitable to plant 25~30 trees in 100m2 with trees of DBH 10cm and below at intervals of about 2m in canopy layer. In the case of subtree layer of DBH 2cm, about 30 trees were planted at an Intervals of 1.5~2m around in 100m2. 2. In the last step of nature vegetation restoration, it is desiable that canopy density is 5/100m2 and subtree one is 10~20/100m2. 3. Management plans was proposed to use the native species of Mt. Nam around an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situation once a year such as species introduce, dead-tree, soil, fauna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