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harmful substances released from household item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this has increased people’s environmental awareness. In this study, adhesives and manicures were used as samples of indoor household goods and formaldehyde emission and tested over time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15oC, 25oC, 35oC, and 45oC. The small chamber method as the indoor air quality process test method was employed and used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emissions. As a result, formaldehyde emissions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in both tests using adhesives and manicures. The cumulative emission showed a logarithmic function over time, and the formaldehyde can be released for longer periods of time at lower temperature conditions. The logarithmic value and response time showed linear relationship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ormaldehyde was released from the sample through the first order reac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velocity constants which was determined using the Arenius linear equation showed that the reaction rate of formaldehyde can be estimated by a temperature change.
        4,200원
        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가 매일 사용하고 있는 생활용품은 비장애인 대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만약 장애인이 이 생활용품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안내인이 필요할 정도다. 그런데 현대사회를 이루고 있는 장애인 비율을 보면 전세계 15%, 국내 5%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만 명 중 561명꼴로 장애인수는 전체 인구의 약 6%에 해당되지만, 사고, 질병 등의 후천적 장애가 대부분이며 현재 고령화 사회의 이슈를 반영하면, 실제 추정 장애인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유로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생활용품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은 필수요소라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생활용품 중 샴푸와 바디워시 3종을 선정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사례를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의 6원칙을 적용,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해보고, 어떻게 계획되어야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가를 해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용자가 표기사항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문자 가독성을 고려하여 글자체 및 글자크기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품의 중요정보를 시각적으로 돋보이도록 일러스트 등의 적용이 필요하며, 표시 구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중요 표시 항목의 표시 위치 지정 등의 세부항목이 추가된 법적근거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