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에 경북 김천시 봉산면에서 장기간 도로로 단절된 경부고속도로(46년 전 완공) 및 경부선 철도(111년 전 완공)지역에서 종 구성의 변화와 다양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보행성 딱정벌레르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딱정벌레과 11속 17종 287개체를 확인하였다. 우점종은 Synuchus nitidus 105개체 아우점종은 Coptolabrus jankowskii로 68개체가 확인되었다. 고립 지점과 비고립 지점에서 모두 확인된 종은 우점종과 아우점 종이며 Synuchus cycloderus, Nebria chinensis는 고립된 1개 지점을 제외한 서식지를 확인하였다. 고립과 지점에서 일부 종의 유전자 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유전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내 남북한 접경지역인 파주시와 연천군에서 1990년부터 2007년까지 17년 동안 진행된 서식지 파편화를 경관지수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1990년과 2007년에 수집된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와 산림 서식지를 분류한 후 각 시기별 서식지 면적비, 패치밀도, 평균 패치면적,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에 대한 패치밀도는 47% 증가, 평균 패치면적은 42% 감소하였고 산림 서식지의 패치밀도와 평균 패치면적도 각각 36% 증가, 28.7%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어 두 유형의 서식지 모두 지난 17년간 급격히 파편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는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는 7%, 산림 서식지는 5% 감소하여 남아있는 서식지라 하더라도 서식지 주변지역의 경계효과에 영향을 받아 서식지 내부종이 서식할 수 없는 지역이 많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늘어날 접경지역에 대한 개발에 대비해 서식지 파편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