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지역인 설악산 국립공원은 해발 1,708m로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본조사는 1,473m, 1,368m, 949m, 524m 고도에서 지점을 선정하여 함정트랩(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한후 군집구성을 분석하였다.조사결과 17속 24종 7,487개체가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가 확인되었으며, 조사지역 세부 지점별로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윤줄납작먼지벌레(Colpodes xestus), 청진민줄딱정벌레(Aulonocarabus seishinensisseishinensis), Synuchus sp.1, Synuchus sp.2, Poecilus sp., 강원우리딱정벌레(Eucarabus cartereti cartereti)가 우점종 및아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조사를 통해 딱정벌레 분포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한다.
        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경북지역(상주시 화서 1개 지역, 화동 1개 지역, 모동 1개 지역, 경산 1개지역) 포도과원의주요 생산품목인 켐벨얼리와 거봉을 대상으로 해충발생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조사시기 및 조사지역에서볼록총채벌레 우점해충으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으로는 2015년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2016년 나무좀류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포도과원의 해충발생 최성기 및 월별 해충 발생상황 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효과적인 방제방법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김해에서 처음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사과, 단감 등의 농작물에 피해를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및 부산, 울산, 대구지역의 중부내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상주영천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의 10개 도로, 86개 나들목 지점에서 육안관측을 통한 미국선녀벌레의 개체수 및 발생 여부를확인하였다. 관찰된 최다 개체수는 464마리가 관찰된 추풍령 지점이었다. 대부분의 미국선녀벌레는 경부고속도로(추풍령, 김천, 김해, 밀양, 창원)에 집중되어 있으며 각 나들목 주변부의 기주식물로 삼을만한 수종의 분포와 미국선녀벌레가 이동수단으로 삼는 차량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선녀벌레가 많이 관찰된 수종은 아까시나무, 느티나무였다. 침엽수인 잣나무와 소나무 등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국선녀벌레의 확산 연구의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검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위치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저수지 중 하나이다. 공검지는 생물다양성이풍부한 습지임을 인정받아 1997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또한 환경부는 2011년 저수지를 비롯하여 주변논 경작지와 산림구역이 포함된 공검지 일대 0.264㎢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본 조사는 공검지 보호구역내의곤충상을 비교하기 위해 공검지를 저수지 구역, 논 구역, 산림 구역으로 나누어 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5월, 8월로 총 2회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 Sweeping과 Pitfall trap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세 구역에서총 7목 50과 102속 105종 786개체가 채집되었다. 조사구역별로 저수지 구역에서 4목 25과 37속 38종 502개체, 논구역에서 7목 31과 45속 46종 164개체, 산림 구역에서 5목, 29과 52속, 52종, 120개체가 조사되었다. 유사도 분석결과저수지 구역과 논 구역은 0.31로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냈다.
        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남한에 분포하는 우리딱정벌레류는 현재까지 총 6종 20아종이 알려져 있다(Imura et Kezuka, 1992; Park et al., 2013; Rapuzzi, 2015). 우리딱정벌레류의 분류는 수컷의 aedeagus 형태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Kwon et Lee, 1984; Imura, 1997; Rapuzzi, 2015). 그러나 우리딱정벌레류를 포함한 몇몇 딱정벌레아과의 종들은 외부 특징으로 구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Janovska et al, 2013), aedeagus의 형태로 명확한 구분이 어려운 종들이 있다(Kwon et Lee, 1984). 최근 이러한 분류군에서 inflated endophallus의 구조의 연구는 많은 분류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Brinev, 2002; Anichtchenko, 2004; Janovska et al, 2013). 국내에서는 Kwon et Lee, 1984에서 처음으로 딱정벌레아과의 endophallus 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최근까지도 inflated endophallus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지역에 분포하는 우리딱정벌레속 6종을 대상으로 inflated endophallus의 형태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종간에 endophallus의 형태가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지역인 구미시 환경자원화시설은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백현리에 위치해 있으며 2011년 완공되었다. 준공기간동안 서식지 훼손과 단절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시설 조성지역 주변의 곤충상이 변했을 거라 사료되어 완공 후 조사를 시행하고 이전 환경영향평가 자료와 비교하였다. 환경영향평가 당시 총 10목 44과 74속 82종이 확인되었고, 2016년 조사결과 총 10목 59과 101속 107종이 확인되었다. 딱정벌레목 36종, 노린재목 22종, 벌목 10종, 잠자리목 9종, 메뚜기목 9종, 매미목 8종, 파리목 7종, 나비목 5종, 그리고 사마귀목 1종 순으로 출현하였으며 출현종 가운데 환경부 보호종 2급이 애기뿔소똥구리 (Copris tripartitus(Waterhouse)) 가 출현하였다. 조사자료 비교결과 환경자원화 시설 완공 후 시공 전보다 출현종수가 다양해졌 다는 것을 확인했다.
        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에 경북 김천시 봉산면에서 장기간 도로로 단절된 경부고속도로(46년 전 완공) 및 경부선 철도(111년 전 완공)지역에서 종 구성의 변화와 다양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보행성 딱정벌레르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딱정벌레과 11속 17종 287개체를 확인하였다. 우점종은 Synuchus nitidus 105개체 아우점종은 Coptolabrus jankowskii로 68개체가 확인되었다. 고립 지점과 비고립 지점에서 모두 확인된 종은 우점종과 아우점 종이며 Synuchus cycloderus, Nebria chinensis는 고립된 1개 지점을 제외한 서식지를 확인하였다. 고립과 지점에서 일부 종의 유전자 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유전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웨이퍼 레벨 밀봉 실장된 수직 운동 가속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초소형 Z축 가속도 센싱 엘리먼트를 제작하였다. 초소형 Z축 가속도 센싱 엘리먼트는 수직 방향의 정전용량 변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일 기판상에 수직 단차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확장된 희생 몸체 미세 가공 기술 (Extended Sacrificial Bulk Micromachining, ESBM) 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확장된 희생 몸체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하면 정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