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블랙컬러 패션소재에 대한 색채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선정한 9종의 블랙 패션소재에 대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촉감 및 구매선호도를 평가시켰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 요인분석, t-test, Kruskal-Wallis검정,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블랙컬러소재의 색채감성을 요인분석 한 결과,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종류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검정 벨벳소재는 이들 색채감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소재로 평가되었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블랙소재가 더 심플/클래식하고 우아하며 현대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들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블랙컬러 패션소재 중에서 촉감이 좋다고 평가된 소재의 경우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촉감과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변인은 색채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컬러 패션소재는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의 색채감성을 나타내었고, 색채감성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상품기획시 추구 이미지에 따라 블랙컬러소재를 차별화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에서는 상품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계획이 세워지고 있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데 컬러 계획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컬러 계획에서도 가장 트렌디하고 민감한 패션 분야에서 선호하는 컬러를 연구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들어 슬림한 체형을 추구하는 20·30대 남녀를 중심으로 블랙 컬러 하의 (스키니 진, 레깅스 등)의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각 패션의 분류별 상의 컬러의 선호와 블랙 컬러 배색의 선호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컬러 계획에 있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둘째, 패션의 개념과 분류, 패션에서의 컬러에 대해 선행 연구 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셋째, 이론적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컬러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의류 쇼핑몰에서 블랙 컬러 하의와 상의 컬러를 수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설문 조사 결과, 공통된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블 랙 컬러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이미지가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찾아냈다. 결론적으로 블랙 컬러 배색으로 상의 컬러를 계획 할 때 첫째, 흡수성 둘째, 중량감, 셋째, 컬러 이미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 세 가지 요소로 설문 대상자들에게서 컬러의 밸 런스, 안정감을 찾으려고 선호하는 컬러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패션의 컬러 계획에 있어서 의미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