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서울 북부지역에서 유통된 1,737건의 농 산물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 조사 및 위해성 평가를 하였다. 분석 시료는 QuEChERS 법으로 전처리한 후 GCMS/ MS 및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빈도 부적합 성분을 대상으로 직선성과 정량한계, 회수율, 상대 표준편차(RSD%) 구한 결과 OECD 및 Codex의 기준에 적 합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72품목 560건(32.2%)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22품목 38건(2.2%)이 잔류농약 허 용치를 초과하였다. 잔류농약이 많이 검출된 품목은 과일류 53.8%, 채소류 33.0%, 허브류 28.6%, 두류 15.4%, 곡류가 10.5% 순이였으며, 잔류농약 허용치를 초과한 품목은 채소 류 중 엽채류, 엽경채류, 근채류, 향신료 및 버섯 등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105종으로 그 중, dinotefuran, fluxametamide, chlorfenapyr, azoxystrobin, carbendazim이 가장 많이 검출되 었으며, terbufos, carbendazim, fluxametamide 등 23종의 성 분에서 잔류 허용기준이 초과되었다. 잔류허용기준을 초 과한 농약에 대해 위해 평가를 수행한 결과 위해 지수가 0.00003-1.31406%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산출되어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ack effect of the staircase and the failure to take into account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of the staircase,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smoke control only vestibu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w vestibule and the staircase simultaneous smoke control are equipped with an exhaust flap damper with an effective opening area of about 0.25 m² in the upper part of the staircase, and a ventilator-type air supply fan of about 5 m³/s in the lower par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staircase. If you use the new simultaneous smoke control method of the vestibule and staircase, you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is possible to open the external entrance door. Second, it can reduce the stack effect. Third, the staircase door closes automatically without fail. And a new method of preventing overpressure was proposed for the vestibule.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used by a wide range of local residents, including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the elderly, children,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During emergencies like fires, confusion can arise as these individuals try to evacuate. Evacuation simulation results have shown that utilizing evacuation systems based on specific evacuation scenarios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time required for evacuation compared to general evacuation procedures. By anticipating potential fires based on changes in social and facility environments, appropriate evacuation scenario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evacuation systems, thus contributing to the safety and security of individuals during emergencies. In conclusio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serve a large number of peopl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ocus on performance-based desig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cility, and to continuously develop and train for appropriate evacuation scenarios that align with changing facility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measure sedimentation status change with the changes in internal pressure for dry chemical extinguishers of various use periods and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e fire extinguishers' performance criteria.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is 0%, 2 out of 10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the 5 elapsed years were noted to be suitable, including 3 recycled dry chemical powders with 5 elapsed years that were found eligible. One out of 10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10 elapsed years was shown as suitable. Also, one new dry chemical powder for 13 elapsed years was suitab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was 50%, all 10 out of 10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5 years, recycled one with 5 elapsed years, and a new one with 10 elapsed years were found to be suitable, while 9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13 years were shown as suitab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was normal, new ones with 5 elapsed years, recycled ones with 5 elapsed years, new ones with 10 elapsed years, and new ones with 13 elapsed years were all 10 out of 10 samples noted as suitable. In summarizing the experim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edimentation status, one of the fire extinguisher's physical properties experiments, affects the fire extinguisher's performance criteria rather than the change with use periods.
This study is to check waterproof by number of twists of fire hose and measure the first waterproof tim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wists of fire hose and first waterproof time and waterproof by position of twists so as to suggest the efficient plan to prevent twists of fire hose. Ordinary fire hose did not make waterproof in case that position of twists was near the nozzle with twists 5 times or more, while anti-twist fire hose had no problem for waterproof only with delayed time. Like ordinary fire hose, anti-twist fire hose also showed the tendency to increase the waterproof tim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wists. In case that the position of twists was near waterproof port even with 10 times of twists in anti-twist fire hose, the first waterproof time was increase by 0.63 seconds on average without any problem for waterproof, which was somewhat faster than that in ordinary fire hos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wists, waterproof of anti-twist fire hose was affected more as the number of twists was increased more near the nozzle rather than near the waterproof port, like ordinary fire hose. In summary, anti-twist fire hose equipped with anti-twist tool at the middle connection port and the nozzle showed a good waterproof performance with delayed waterproof time regardless of number of twists, as a solution for the twist problem of ordinary fire h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ich type of fire hose should be placed in indoor fireplug box upon analyzing the preparation time between rack-type fire hose and reel-type one. With respect to the type of hose, rack-type stacking method was used and hose preparation time was measured with 5 times of repeat test, separating men and women. Study results reveal that preparation time of reel-type fire hose took longer than that of rack-type one in both men and women. For both rack-type hose and reel-type hose, preparation time by two persons took shorter than that by one man. Also, preparation time by three persons took shorted than that by two women. Preparation time for both rack-type hose and reel-type one by men took shorter than that by women. In summary, it was confirmed that rack-type hose could be prepared within shorter time than reel-type one. Since the size of drum set in the reel-type fire hose is relatively small, it had some difficulty in preparation of fire hose timely.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성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려동물 식품시장 규모가 가장 큰 국가가 미국임을 고려하여 미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재한 미국인 1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층토론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먼저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자유 연상 인식을 관찰하였고, 이후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관련 언론 정보를 제공한 후 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실제 제품을 제시하여 구매 맥락에서의 소비자 태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식용곤충 원료에 대해 자유 연상 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과 같은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고 이와 관련한 구체적 언론 정보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구매 맥락에서는 오히려 환경적 가치보다 ‘저 알레르기’, ‘고단백질’, ‘피부/모질 개선’ 등과 같은 영양 및 건강기능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용곤충 원료에 대한 거부감’은 일반 식품과 마찬가지로 반려동물 식품에서도 여전히 가장 중요한 부정적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상황에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의 환경적, 영양적, 건강기능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식용곤충 원료 산업에서 시도하고 있는 반려동물 식품 시장 진출 전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a scenario to understand the reaction rate and operational time according to RTI value of rate of rise detector in each type in case of fire mattres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action rate and operational time of detector in each scenario, in case when installing a single detector, the elevated temperature per minute was raised to 8℃/min ~ 9℃/min. In case when installing two detectors, it was raised to 9℃/min ~ 10℃/min. In case when installing three detectors, it was raised to 10℃/mi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detector and mattress was 1.8m~2.5m. Whenever the number of detectors was increased, the horizontal distance was decreased. The operational time of detector was within maximum 540 seconds and minimum 420 seconds. As the research task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the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reaction rate of detector on the evacuation in case of fire through the result value of RSET by setting up the latency until the detector operates, and the researches on the safety by understanding if the operational time of detector i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standard of performancecentered design.
漢語 中古音의 聲母의 조음 방법을 연구함에 있어, 『東國正韻』(1447)과 『訓蒙字會』 (1527)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漢語 中古音을 음소 문자로 표기한 최초의 문자 는 파스파 문자이지만, 파스파 문자는 死語가 되어 음소의 변화 및 후대의 계승 양 상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반면, 『東國正韻』 한자음은 漢語 中古音과 시기상으로는 거리가 있지만, 漢語 中古音의 운미 8개를 일률적으로 訓民正音으로 표기했고, 全淸·次淸·全濁·次濁 역시『訓民正音』 「解例本」에서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訓蒙字會』는 우리 현실 한자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되므로, 『東國正韻』 한자음의 표기가 『訓蒙字會』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필 경우, 『東國正韻』의 편찬자가 분석한 漢 語 中古音의 淸·濁音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이 중에서 漢語 中古音의 齒音을 고찰 하면서, 淸音의 무성 마찰음 /s/와 全濁의 유성 마찰음 /z/에 대해서 주로 연구하고 자 한다. 일반적으로 漢語 中古音의 全濁 齒音은 /z/로 추정되는데, 『東國正韻』 편찬 자의 관점에서도 그러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東國正韻』 한자음의 성격에 대해 異論 이 있어 본고에서는 논외로 하지만, 『訓蒙字會』의 한자음과 비교해서 살펴봤을 때, 『東國正韻』은 표기에서 우리 한자음을 바탕으로 漢語 中古音 四聲七音의 원리를 반영 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을 근거로 본고에서의 논의를 전개한다. 따라서 당시 우리 현실 한자음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는 『訓蒙字會』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東國正韻』의 한자음과 면밀히 고찰해 볼 때, 漢語 中古音의 淸·濁音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금잔화를 꽃차로 이용하기 위해 열풍 건조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물질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최적 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용꽃 금잔화를 60℃에서 5시간, 10시간, 15시간 열풍건조 한 뒤 Hunter value를 측정하고 9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항산화 물질인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 이를 통한 항산화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Hunter value L 값과 +b값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시간 처리구에서 다소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물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처리 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5시간과 10시간 처리시 함량이 다소 높았으며,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15시간 처리시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5시간과 10시간 처리시 대조구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총 카로티노이드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r=0.610). 따라서, 열풍건조한 금잔화는 총 카로티노이드가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며, 5시간 및 10시간 열풍건조 처리가 금잔화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활성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식물의 열처리 가공에 있어 오랜 시간은 내부 조직 및 항산화 물질 파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금잔화 열풍 건조 처리 시 5시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경남지역 농산물 58개 품목에 대해 특화계수와 지역성장률차분분석 등을 통해 개별 품목들의 지속적 성장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재배면적(사육두수)에 의한 특화계수분석에 따르면 겉보리, 노지시금치, 단감, 마늘, 맥주보리, 밀, 시설딸기, 시설수박, 시설호박, 양파, 노지당근, 떫은감, 메밀, 돼지 등 14가지가 지역특화품목으로 선정되었다. 58개 품목 중 성장유망품목은 모두 10개로 돼지, 양파, 노지당근, 노지시금치, 겉보리, 사과, 시설호박, 밀, 떫은감, 노지토마토이다. 기타 48개 품목은 정체·사양품목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성장가능성 범주에 따라 그에 맞는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지진원 상수의 정밀한 결정과 지진재해의 예측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의 하나는 부지증폭 특성에 관한 상세한 정보이다. 한반도 광대역 지진관측소의 부지증폭 특성이 0.2-20 Hz 범위 내에서 주파수의 함수로 추정되었다. 한반도 남부에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관측된 43개의 지진에 대한 총 1275개의 지진기록이 사용되었다. 지진동 모델의 역산으로부터 추정된 28개소의 관측소에 대한 부지증폭비는 수직대 수평(H/V) 스펙트럼비로부터 얻어진 증폭비와 몇몇 관측소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그 값이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주파수별 부지증폭 특성은 어떤 뚜렷한 공간분포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지증폭 특성은 기반암 종류보다는 풍화의 정도와 크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파수별 부지증폭비를 참조하여 28개소의 광대역 관측소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고, 그룹별 특징에 대하여 본문에 서술하였다.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 사업의 일환으로 어린이 식품 품질인증제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친숙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하여 식품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어린이에게 올바른 식품선택기준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품질 인증마크를 개발하였다. 눈높이는 8~13세의 초등학생으로 하였고, “안전한 식품, 바른 영양, 건강한 어린이”라는 식약청 vision에 따라 로고 컨셉은 안심·미소, 인증·검증·보호, 건강으로 하였다. 명칭은 식약청내 공모를 통해 제안된「어린이용우수식품」, 「어린이안심식품」,「어린이우수식품」등 세 가지 안으로 하였으며, 명칭에 따라 총 36가지의 품질인증 로고시안을 제안하였다. 설문지는 이 중「어린이우수식품」으로 디자인된 12가지 시안으로 구성하였고, 초등학교 학부모(331명) 및 어린이(321명)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부모와 어린이의 선호도를 종합한 결과 시안 8이 16.1%로 가장 높고, 시안 6(15.5%), 시안 3(14.0%) 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먹거리 안전성 확보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부모와 어린이의 선택권을 강화할 수 있으며, 바르고 안전한 식품을 선별하기 위한 검증으로 어린이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