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성경 번역에 있어서 어린이(미성년)와 어른의 문체 차이로 인한 ‘수용성’ 여부를 연구한 것이다. ‘수용성’은 보그란드와 드레슬러가 주장한 ‘텍스트성’(textuality)의 하나이다. 어린이와 어른의 성경 문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여덟 가지 방법으로 시행을 했는데 그에 해당하는 예로는 어린이 그룹을 네 부류(A, B, C, D)로 성인그룹을 네 부류(A-1, B-1, C-1, D-1)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각 문체에 따른 번역 결과물의 수용 여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경 번역의 문체 비교에서 독자들은 격식체를 선호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성경 특유의 문체를 선호한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독자의 입장에서 번역가가 번역하는 것은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것이 번역학의 이론이자 보그란드와 드레슬러의 주장이다. 그러나 성경 번역의 경우 예외가 되며, 독자에 대해서 너무 고려하여 번역하면 오히려 효과적이지 못한 번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고의 결론이다.
        6,100원
        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현승은 한국의 기독교 시인 가운데 성경인용 빈도가 가장 높은 시인이다. 시인 스스로 성경, 특히 신약의 예수의 언행은 자신의 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고백하고 있다. 본고는 김현승 시에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성경인용 양상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특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첫째, 인유의 측면에서 어구와 문장, 사건과 일화의 인용을, 둘째 비유의 측면에서 성경의 비유 수용 및 시에서의 비유적 표현을, 셋째 성경의 내용이 시인의 관용적 어구나 개인상징으로 쓰인 경우로 나누었다. 시에서 비유로 활용되거나 관용적인 어구 및 개인상징으로 굳어진 경우는 성경의 내용을 자신의 시에 중요한 시적 심상으로 수용한 경우로, 기독교 시인의 성경수용이 매우 심화된 사례를 보여준다. 김현승 시인은 성서를 폭넓고 심도 있게 수용하여 다른 기독교시인의 성서수용을 비교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