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고는 고전소설 심청전의 서사를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 정’ 17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판 24 장본을 사용하였으며, 심청의 이야기를 캠벨이 제시한 출발, 입 문, 귀환의 세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출발 단계에서 심청은 눈먼 아버지를 위해 쌀 삼백 섬을 마 련하기 위해 자기희생을 결심하고, 결국 인당수로 향하게 된다. 이는 캠벨이 제시한 ‘영웅의 부름’과 ‘초자연적 도움’ 단계와 명 확히 부합하며, 심청이 일상의 세계를 떠나 미지의 세계로 나 아가는 신화적 순간임을 의미한다. 입문 단계에서는 심청이 인당수에 투신하여 죽음과 재탄생을 경험하고, 연꽃 속에서 부활하여 용궁에서 초자연적 존재들과 만나는 과정을 캠벨의 ‘고래의 뱃속’과 ‘시련의 길’ 단계로 분석 하였다. 특히 용궁에서의 경험과 유혹은 ‘여신과의 만남’과 ‘유 혹자로서의 여성’ 단계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심청이 영웅적 존재로 성장하는 과정을 밝혔다. 귀환 단계에서는 심청이 인간 세계로 돌아와 황후가 되어 아 버지와 재회하여 그의 눈을 뜨게 하는 궁극적 보상을 얻는 과 정을 분석하였다. 이는 캠벨의 ‘아버지와의 화해’ 및 ‘궁극적 보 상’ 단계와 정확히 대응하며, 초월적 지위와 현실적 역할을 통 합한 심청의 모습은 ‘두 세계의 지배자’ 단계를 잘 나타낸다. 본 고는 심청전의 효라는 윤리적 주제가 단지 동양적 가치관 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인류 보편의 신화적 원형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한국 고전소설이 지닌 신화적 잠재력을 재조명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인류가 공감할 수 있는 근원적 정서와 상징이 심청전 속에 내재되어 있음을 밝혔다.
        8,0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지의 제왕』은 세속적 성찬의식을 통해 영적 은총을 전달하는 가톨릭 창 조 신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본 글은 ‘안티 성사’의 힘과 파괴력에 다소 유약한 탐욕스러운 골룸과 그리스도의 수난과 구원, 그리고 세상을 구원하려는 사랑, 용기, 희생을 택한 사도로서의 프로도를 통해 ‘안티 성사’로서 절대반지의 가톨 릭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그러한 신화적 구조를 드러내는 사건의 경우 운명 의 산에서 반지를 마지막 용암에 떨어뜨리는 에피소드에는 악의 화신인 사우론 의 반지를 탐냈던 골룸이 반지와 함께 제물로 바쳐지며, 허약한 왕 데네소르는 인간에 대한 회의와 지옥같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마지막 전투 에피소드에는 마법사 간달프, 로한의 왕 세오덴, 인간의 마지막 희망인 아라곤과 파라미르 등 은 불신과 악으로서 반지의 ‘안티 성사’의 힘을 경험하고 새롭게 태어난 인간성 을 보여준다.
        5,500원
        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게임 서사를 구조주의 신화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 줄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신화가 게임 서사에게 소재 이상의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를 살피는 데 있다. 서사적 측면에서 게임과 신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계속 있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들은 대부분 '영웅 서사'로서의 신화가 게임 서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들이다. 이 글은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이라는 두 구조주의 신화학자의 이론이 게임 서사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연구 결과로서, 구조주의 신화론에서 끌어온 '재구성'과 '동시성'은 글말서사와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서 자리 매김할 수 있으며, 입말문학으로서의 신화는 게임 서사에게 잊혔던 구술성을 복원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