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시 「이런 전사(這樣的戰士)」(1925)는 루쉰이 자신의 문제의식과 가치지향을 정 면으로 드러낸 희귀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묘비문(墓碣文)」(1925), 「그림 자의 작별(影的告別)」(1924)과 더불어 들풀(野草)(1924-1926)에 수록된 23편 가운 데 가장 난해한 시의 계열에 속하기 때문에 그 의미 파악이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 니다. 물론 시가 난해하기 때문에 연구자로서 도전의 매력 또한 큰 것도 사실이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 시를 읽은 뒤에 “이런 전사”가 도대체 어떤 전사인지 짐작하 기 어렵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 이유는 “이런 전사”가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 전사의 개념에 전혀 부합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런 전사」가 이상한 전사, 전사 같지 않은 전사, 전사가 아닌 전사처럼 보이는 이유를 해명하고, 그 예술 적, 사상적 의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런 전사」는 루쉰의 사상을 특 징짓는 “시화된 철학”을 전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대표적 작품에 속한다. “시화된 철학이라는 말은 시와 사상, 형상과 개념의 고도의 융합을 가리키는 것이다. 시로 표현될 수밖에 없는 사상, 사상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시, 이런 특이한 시와 사상은 그 예술적, 미학적 특징에 대한 텍스트 분석이 그대로 사상적, 철학적 의미에 대한 해석과 직결되는 놀라운 경험을 제공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런 전사」에 대한 텍스 트 분석과 사상적 해석을 고도로 융합시키는 시도를 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 거나 해석하기 어려웠던 문제들에 대해 하나의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