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지역은 내륙지역과 비교하여 기후 변화의 차이가 있다. 도서지역은 풍속과 바다 수온이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같은 시기에 도서지역과 내륙지역에서 여왕벌 을 유입하여 교미충실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실험한 결과 도서지 역의 유입율은 1차(4월 3일) 90%, 2차(4월 11일) 90%, 3차(4월 18일) 100%이고, 내륙지역은 1차(4월 3일), 2차(4월 11일), 3차(4월 18일) 100%로 동일하다. 도서지 역의 산란율은 1차 30%, 2차 50%, 3차 70%이며, 내륙지역은 1차 90%, 2차, 3차 100%이다. 섬지역의 산란소요일수는 1차 30일, 2차 20일, 3차 14일이며, 내륙지역 은 1차 12일, 2차 10일, 3차 8일의 결과를 얻었다. 산란소요일수가 많이 차이나는 이유는 최고기온 차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실험기간(4월 11일 ~ 5월 15 일) 중 위도격리교미장에서는 여왕벌 교미시 적정온도인 18℃이상의 일수는 도서 지역에서 17일, 내륙지역에서 39일 기록하였다. 내륙(풍양)양봉장에서는 4월부터 최고기온이 18℃인 날이 많이 관측되었다. 산란소요일수는 내륙지역의 최고온도 가 섬지역보다 평균편차와 분산이 낮게 나왔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해 서양종 여왕벌 교미는 내륙지역이 도서지역보다 이른 봄철에는 최고기온이 영향을 미쳐 4 월 중순에 여왕벌 교미충실도에 있어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교배종 여왕벌을 농가에 보급하기 전에 어떤 구조의 벌통을 사용하여 여왕벌 을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벌통은 양봉농가 및 국내외 연구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티로폼벌통과 미 니나무벌통 2종류로 실험하였다. 시험 결과 여왕벌 유입률은 미니나무벌통이 스티 로폼 벌통보다 8.4% 높게 나타났고, 산란소요일수는 미니나무 벌통이 3.8일 더 짧 게 나타났다. 유효산란수는 스티로폼 벌통이 미니나무벌통 에 비해 6배 높게 나타 났다.
따라서 스티로폼 벌통은 미니나무 벌통 보다 여왕벌 유입률은 낮고, 산란개시일 은 길게 걸리지만 산란의 압박을 받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 있으므로, 여왕벌을 장 기간에 걸쳐 보관하면서 공급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반면 미니나 무벌통 실험군은 여왕벌 유입률은 높고, 산란개시일이 짧아 봉개확인 후 바로 보급 될 수 있어, 여왕벌을 농가에 바로 공급할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여왕벌을 택배나 차량 등으로 이동 시킬 때, 여왕벌의 폐사, 훼손 등을 줄이고 농가의 벌통에 잘 유입하여 여왕벌이 정상적으로 산란할 수 있는 최적의 방 법을 찾고자, 2013년 5월 25일부터 8월 2일까지 경북 예천군 소재 2개 양봉농가에 서 매회 여왕벌 60마리를 택배 및 차량으로 직접 배송하는 방법으로 총 3회에 걸처 수행 되었다.
여왕벌 이동기구는 양봉농가 및 국외 연구소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소형왕롱 과 소형벌통 2종류를 대상으로 시험 하였다. 시험 결과, 1~2일 정도의 짧은 기간에 는 이동기구의 종류에 따라 여왕벌의 생존율 및 산란일에서 차이가 없었다. 유입성 공율의 경우 소형왕롱으로 이동시킨 여왕벌은 30% 정도로 망실율을 나타났고, 소 형벌통은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고 먹이 및 도우미 벌이 있어 망실율이 10% 이하로 나타났다. 산란능력 검사를 위한 봉개된 육아방수 조사에서는 소형벌통을 이용한 여왕벌 유입군이 이 상대적으로 소형왕롱을 이용한 여왕벌 유입 벌통 보다 봉개된 육아방수가 4~75%까지 많게 나타나 산란능력이 더 높았다.
한편 유입방법 시험의 경우, 소형벌통은 소비1매를 무왕군 봉군에 합봉하는 형 태가 되어 여왕벌 유입에 문제가 없었으나, 소형왕롱 배송을 통한 직접 소문유입의 경우 일벌들의 공격이 다수 발생하여, 소형왕롱을 저밀소비에 하루 정도 부착하여 두어다가 여왕벌을 풀어주는 간접유입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유밀기, 봉충소 비의 발췌, 급이의 풍부, 무왕군의 벌세력 등에 따라 유입 성공율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왕벌 이동기구의 크기 및 환기, 이동기간, 도우미 벌의 존재 및 먹이의 풍부, 무왕군의 봉충제거 및 세력 등이 여왕벌 이동과 유입에 영향을 끼 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양봉산업에서 말벌류에 의한 양봉농가의 피해보고가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외래 침입종인 등검은말벌로 인해 양봉산업에서 말벌류의 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 는 실정이다. 양봉장을 방문하는 말벌류는 사회성 집단을 형성하며, 꿀벌을 집단적 으로 공격하는 성향을 띤다. 국내 말벌속(Genus: Vespa)은 10종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말벌류에 대한 지역별 출현 시기, 종 분포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말벌류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말벌류는 봄철에는 여왕 벌이 먹이 수집활동을 통해 봉군을 형성시키며 이후 일벌을 통해 먹이 수집활동을 이어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북 안동대학교 양봉장 주변 야산에서 발생하는 말벌 류에 대한 연중 발생 동태를 파악하였으며, 여왕벌과 일벌의 발생을 시기를 조사하 였다. 채집된 총 개체수는 1145개체였다. 채집된 말벌류는 말벌, 좀말벌, 장수말벌, 털보말벌, 꼬마장수말벌, 등검은말벌, 검은말벌, 큰홑눈말벌으로 8종으로 이루어 져 있었다. 조사된 말벌 개체수 분포는 좀말벌:말벌:털보말벌:꼬마장수말벌:장수 말벌:검정말벌:등검은말벌이 각 36:25:12:10:10:5:2이었으며, 봄철에는 43:16:18: 6:7:8:3 이었고 여름철은 28:39:1:17:14:0:2 비율로 나타났으며, 봄철과 여름철 발 생 개체수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여왕벌이 월동 이후 최초 채집은 5월 1일 부터 이었고 1차 발생피크는 5월 15일~22일, 2차 발생피크는 6월 19일~26일 이었다. 채 집 개체 크기 조사를 통해 1차 피크는 여왕벌이, 2차 피크는 일벌의 발생에 의한 것 으로 판단되었다.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한 이들 발생동태 변화 추이 및 군집구조를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