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만해 한용운의 온라인 연보를 기획할 때 고려할 지점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보는 ‘개인 삶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실의 기록’으로, 삶의 방향 제공, 학술 연구 자료, 특정 이미지의 사회적 유통 경로 등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연보 연구는 평전(評傳)을 위한 도구론적이나 개인 활동의 발굴 및 기록 차원에 머물러 미진하다. 이 연구가 종교인들의 온라인 연보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그렇지만 우리가 고려할 부분은 연보가 온라인 서비스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상황이다. 이 상황은 연구자들이 온라인에서 어떻게 연보를 구성하고 구현할 것인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심은 연보의 개념적 요인들을 고려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이 연구를 위해, 제2장(연보의 개념적 요인들)에서는 개인과의 연관 여부, 사실 여부, 내용을 선별한 기준의 합리성 여부 등 연보에서 개념적으로 고려할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이 요인들은 어떤 연보일지라도 ‘개인과 명확히 연관된 사실들을 최대한 찾고, 합리적 기준을 적용해 중요 내용을 선별해야 한다는 원칙’을 토대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장(연보 사례와 구현 방식들)에서는 온라인 연보 사례를 종교와 무관한 사례, 종교인 사례, 해외 사례로 구분해 구현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각 사례에서 내용 범위의 제공 방식, 스토리 배치(story layout), 공간적 이해를 위한 지도, 번역 서비스, 동료의 연보 서비스, 중요 정보의 별도 서비스, 종교사적 맥락 서비스, 동일 시기의 주요 사건 제공 서비스, 핵심어와 설명문 서비스, 연보의 다양한 형태 등을 확인하였다. 제4장(만해 연보의 구성과 구현)에서는 만해의 연보 기록을 위한 개념적 요인들과 온라인 연보에서 고려할 방식들을 제안하였다. 전자는 개인의 연관성, 사실 여부, 합리적 선별 기준, 활용성 등을 포함한다. 후자는 내용 범위의 분절 여부, 공간적 이해, 개방성, 스토리 배치 등을 포함한다. 물론 이 방식들은 연보 설계 방향에 따라 선별적 채택이 가능하다.
한국의 환경부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국가 토지피복도(2000, 2009년)는 수문, 생태,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등 다양한 연구의 기초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2000년 국가 토지피복도의 정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국가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계연보의 지목 자료와 환경부의 2009년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 추정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그 방법을 덕유산 인근에 위치한 6개 읍·면의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을 추정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추정한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은 통계연보와 전반적으로 6.12km2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산정한 토지피복별 면적은 통계연보와 전반적으로 13.10km2의 차이를 보였다. 토지피복도만을 이용하여 분석한 2000~2009년 토지피복별 면적 변화 경향은 통계연보와 54.2% 일치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추정한 변화 경향은 통계연보와 95.8%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토지피복도만을 활용했을 때에 비해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을 추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water resource topics, infrastructure, water supply, users, and economic indicators based on statistical annual standards for evaluating water welfare were selected by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 water resource-related indicators. The level of water welfare was evaluated relative to 23 cities and counti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using data from the Statistical yearbook, and places with high value of indicators urbanization and large populations were excellent in the infrastructure field, but overall analysis showed that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d higher levels.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inuous research and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and quantify the level of physical welfare that the people can feel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level of water welfare by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rough more diverse evaluation items and detailed indicators for each item so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alizing water welfare.
Since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extreme rainfall events, concerns on flood management have also increased. In order to rapidly recover from flood damages and prevent secondary damages, fast collection and treatment of flood debris are necessary. Therefore, a quick and precise estimation of flood debris generation is a crucial procedure in disaster management. Despite the importance of debris estimation, methodologies have not been well established. Given the intrinsic heterogeneity of flood debris from local conditions, a regional-scale model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significant damage variables to predict the flood debris generation, 2) to ascertain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s, and 3)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debris estimation model. The scope of this work is flood events in Ulsan city region during 2008-2016.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test and multicollinearity test, the number of damaged buildings, area of damaged cropland, and length of damaged roads were derived as significant parameters. Key parameters seems to be strongly dependent on regional conditions and not only selected parameters but also coefficients in this study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previous studies. The debris estimation in this study has better accuracy than previous models in nationwide scale.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a regional-scale flood debris estimation model will enhanc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남명의 연보는 无悶堂 朴絪이 1628년 덕산에서 남명의 둘째 아들인 칠원 군수을 지낸 慕亭 曺次磨로부터 부탁을 받고 1636년 편찬을 하였 다. 그 후 謙齋 河弘度, 澗松 趙任道, 林谷 林眞., 寒沙 姜大遂 등 私淑人들의 수정 보완을 거쳐 1700년 발간된 .南冥先生別集.에 실려 처음 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그 후 1814년 무민당의 후손들이 .무민당 집.을 발간하면서 집안에 전해오던 무민당 手稿本이라고 추정되는 .남 명연보.를 저본으로 삼은 연보를 수록하여, 3종류의 연보가 전하고 있 다. 연보가 발간된 후 내암관련 문자 삭제, 구암과의 절교 문제 등으로 논란이 있었는데 내암 관련 문자는 삭제하는 것으로 정리한 반면 구암 과의 절교 문제에 있어서는 상세하게 기록해야 한다는 무민당의 견해 가 수고본에 그대로 기술되어 있으며, 반면 .남명선생별집.과 후에 발 간된 .무민당집.에는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그 분량은 현저하게 줄어들 었다. 1800년대 들어 남명학파 학자들의 문집이 이 지역에서 많이 발간돼 남명 생애에 대한 자료가 많이 발견되어 보충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또 연보의 내용도 일부분 거칠고 오류가 있다고 생각해 1897년 남명 선생편년을 간행했다. 남명편년은 그동안 제기되었던 연보의 오류들 을 바로 잡았을 뿐 아니라 대체로 연보의 기술 내용을 보충하고 있다. 특히 연보에는 덕계 수우당 한강 등 소수 문인들의 受學에 관한 기사가 있는데 반해 편년에는 남명 문인들의 受學에 관한 기사가 현저하게 늘었다. 이는 남명의 遺文들이 전해지지 않은 것이 너무 많아 당시 지역 선비들의 문집에서 관련 자료들을 구해 이를 보충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